728x90
반응형
중첩, 얽힘, 양자병렬성, qubit, 복제 불가 원리, 순간이동
![](https://blog.kakaocdn.net/dn/0vfix/btsD0GhpmAn/LhMh6dch9EEmq2kPEFkuY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LnD1g/btsaevXC2zc/3HzZ4OUafaL1geAMvNy3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iX86/btsaeTD4cW9/60rP4RYTWDbeCtenn2MYpK/img.jpg)
일반 컴퓨팅 : 2비트 단위 계산 수행, 양자 컴퓨팅: 큐비트 (8비트) 단위 계산 수행
양자 중첩의 지수적인 정보 표현, 양자 얽힘을 이용한 병렬 연산과 같은 양자역학적인 물리 현상을 활용해 계산을 수행하는 기계
https://blog.naver.com/etripr/222762852632
[프리뷰] 양자컴퓨터와 양자내성암호, 수호와 공략 사이
양자컴퓨터와 양자내성암호, 수호와 공략 사이 양자컴퓨터의 논의를 시작한 사람은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
blog.naver.com
큐비트(Qubit : Quantum Bit)
일반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0,1의 두 숫자(비트)를 활용하는 대신 0 또는 1 의 중첩 상태를 표현 가능하도록 하는 양자 병렬성을 가진 비트
양자 병렬성
두 개의 입력을 동시에 처리하고 각각의 입력에 대해 중첩된 상태의 출력을 얻는다.
IBM은 2017년에 17큐비트(Qubit, Quantum Bit) 프로세서 프로토타입을 공개하고, 이번에는 4세대 20큐비트 프로세서를 사용해서 Q 시스템 원을 개발해 공개했다.
http://www.itnews.or.kr/?p=29915&fbclid=IwAR3hES4epYijOqlRlCJyYyi7LnJMxdqMA66okj7ShhzRgnNCCb0FhXJ8Sv8
![](https://blog.kakaocdn.net/dn/cj8rDw/btsaeo5pz6U/KzIA494ypyIxTJsy33gerK/img.png)
IBM, 세계 첫 상용 양자컴퓨터 'Q 시스템 원' 공개 - IT News
IBM이 CES 2019에서 세계 최초로 상용화를 목적으로 한 양자 컴퓨팅 시스템인 ‘IBM Q 시스템 원(IBM Q System One)’을 선보였다. 또한 올해 안에 IBM Q 퀀텀 연산 센터를 미국 뉴욕주 포킵시에 연다고
www.itnews.or.kr
![](https://blog.kakaocdn.net/dn/cj8rDw/btsaeo5pz6U/KzIA494ypyIxTJsy33gerK/img.png)
1. ‘동시에’ 고속 연산처리, 양자 컴퓨터 정의
- 양자: 물리학의 기본 이론인 양자 역할에서 유래한 것으로 물질의 입자성과 파동성 특성을 기술하는 물리량의 최소 단위
- 양자 컴퓨터: 양자역학에서 예측하는 가장 특이한 특성인 상태 중첩(Superposition)과 얽힘(Entanglement)을 이용하여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기계 장치
![](https://blog.kakaocdn.net/dn/tEzbO/btsaf8HcBqo/QTrnQvPi3sZHEAnOQPjdS1/img.png)
가. 양자 컴퓨터의 특징
중첩
- 각기 다른 상태가 동시에 존재
- 0, 1의 중첩 상태를 표현
얽힘
- 연결된 양자 상태를 양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한번의 연산 명령으로 모든 양자 상태를 변화 시킴
- Qubit들 간의 상호 작용
양자 병렬성
- 양자 얽힘을 이용한 고유의 정보 처리 능력
- 정보 처리
qubit
- Quantum과 bit의 합성어
- 하나의 qubit와 마찬가지로 0, 1 두가지 상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처리
- 큐비트를 이용하여 큐비트수가 늘어남에 따라 계산 공간이 지수 함수적으로 늘어나는 양자 병렬성
나. 양자 컴퓨터의 원리/기술 별 특징
초전도체 나노 소자
- 양자로 표현되는 비트
- Qubit를 이용한 정보 저장 처리
원자핵 스핀(중첩)
- 관측하기 전의 전자는 우회전 상태와 좌회전 상태를 동시에 취하고 있다가 관측 후 스핀 방향을 확정
양자비트
데이터의 병렬계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 가능
- 모든 경우에 대한 데이터를 한번에 입력하고 처리
얽힘
- 다수의 양자 비트를 가지고 연산
- 상호 작용한 두 개의 양자는 아무리 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어느 한쪽의 양자 상태가 정해지면 다른 한쪽의 상태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아서 결정되는 현상
복제불가 원리
- 임의의 양자 정보를 완벽하게 복제 불가능
- 양자암호통신의 핵심적인 요소로, 정보 전달 과정에서 도청의 위협을 원리적으로 막을 수 있음
알고리즘
- Shor’s Algorithm: RSA 더 이상 사용 못함
- QFT(Quantum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함수의 주기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고안, 단시간에 소인수 분해 가능
- Grover Algorithm: DB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항목을 찾음
- 소인수 분해를 하지 않고 1부터 대입해도 몇 분이면 해독 가능
순간이동
- 양자 얽힘을 전송 채널로 이용하여 양자 정보를 한 곳에서 사라지게 하고 다른 곳에서 나타나게 하는 전송 방법
![](https://blog.kakaocdn.net/dn/bKN030/btsafNwnsMM/TUSxVEbAN3w7DehndWT5cK/img.png)
본격 개막한 양자 시대, 글로벌 양자과학기술 동향 - 기술과혁신 웹진
양자과학기술 선점을 위한 주요국의 본격적인 기술 패권 경쟁 시작 기술 선도국은 양자과학기술을 미래 게임체인저, 국가안보 전략기술로 인식, 2010년 중반부터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webzine.koita.or.kr
728x90
'06.CA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 인프라 성능관리 - Scale-Up / Scale-Out - 오토 스케일링 (Auto Scaling) (0) | 2024.02.02 |
---|---|
반도체 - 메모리 I/O - DMA (Direct Memory Access) (0) | 2024.02.02 |
반도체 - 메모리 - CAM (Content-Addressable Memory) (0) | 2024.01.25 |
반도체 - 메모리 - Fan-OutWafer Level Packaging (FOWLP) (0) | 2024.01.25 |
반도체 - 메모리 - PIM (Processing-In-Memory) (3)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