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념]
1) CPU를 대신하여 I/O 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
2) CPU를 통하지 않고 주변장치와 주기억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
![](https://blog.kakaocdn.net/dn/bUCN1i/btsEfpg0Lgk/prxvYoMkCGjPiPkkO58mj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Nr6Ff/btsEkzhP5KP/oBrxh0sET3ShWTPNxPBsx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ZYaR/btsEkCeytyB/c6KyZvkBNKAtMB68lLAxN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QsAeR/btsElHGBlBJ/EJeTyXDvdK1pYBRHz0r29K/img.png)
구분
|
설명
|
Burst Mode
(Block Mode)
|
-한번DMA 동작이 시작되면 블록단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여러 개의 메모리word로 구성된 블록이 지속적으로 전송됨
-DMA 인터페이스가 버스 사용권을 획득하면 데이터전송을 마칠 때까지 버스 사이클독점
버스점유
|
Word Mode
(Cycle Stealing)
|
-한번의DMA 동작 동안에 한 word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CPU의 한(1개) memory cycle을 훔쳐서 수행 한다고 하여 Cycle stealing이라 호칭
-CPU와 DMA가 동시에 Bus를 사용하고자 할 때 DMA에게 먼저 제어 권을 넘겨줌
버스공유
cpu가 버스를 사용하지 않을경우 사용
|
Advantage
|
세부 설명
|
CPU Utilization 향상
|
- DMA Controller가 IO동작 수행하는 동안 CPU는 다른 작업을 수행 가능
(IO 작업 동안 CPU가 Block되지 않음)
|
Multi Process 환경에서 유리
|
- 다수의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환경에서 프로세스의 IO 작업과 프로세스의 CPU 작업이 병렬화 될 수 있음
|
Process 응답시간 향상
|
- 느린 IO 작업으로 인하여 다른 프로세스들이 대기 하지 않음으로 인해 응답성 향상
|
728x90
'06.CA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 메모리 - CXL(Compute Express Link) (1) | 2024.02.07 |
---|---|
클라우드 컴퓨팅 - 인프라 성능관리 - Scale-Up / Scale-Out - 오토 스케일링 (Auto Scaling) (0) | 2024.02.02 |
양자 - 양자 과학 (0) | 2024.01.26 |
반도체 - 메모리 - CAM (Content-Addressable Memory) (0) | 2024.01.25 |
반도체 - 메모리 - Fan-OutWafer Level Packaging (FOWLP)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