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BA(Responsible Business Alliance·책임감 있는 산업 연합)
VAP(Validated Assessment Program·제3자 현장 수검)를 실시해 전문 평가기관에서 RBA 행동규범 준수 여부에 대한 현장 평가도 진행할 계획
SW산업에서 ESG경영은 기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실천돼야 하나 중견·중소기업이 책임질 수 있는 규모와 역량 내에서 미래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하고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단순히 추세라는 발목에 잡혀 무작정 ESG경영 방식을 선택하게 되면 경영의 한 요소로만 자리 잡아 실무진 중심의 단편적 ESG개선이 돼버릴 가능성이 크다. ESG경영은 투자력이 관건이 아니라 리더십의 역할을 중심축으로 개편되어 한다. 최고 경영진 중심의 ESG체질 개선이 전제되어야 선택과 책임에 따른 SW산업의 ESG경영 수준이 균형을 이룰 것이다.
새로운 경영방식이 나온다고 해서 기업의 근본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SW산업의 ESG경영은 기술 접근성, 디지털 격차 해소, 사용자 데이터 보호, 안전한 온라인 환경 조성 등을 통해 SW 소외계층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https://www.etnews.com/20240213000010
https://spri.kr/posts/view/23657?code=industry_trend&study_type=&board_type=&flg=
728x90
'09.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과측정 - BSC (Balanced Score Card) (0) | 2024.04.19 |
---|---|
성과측정 - 측정지표 (0) | 2024.04.19 |
리쇼어링 (ReShoring) (1) | 2024.03.05 |
스타트업 - 그로스 해킹 (1) | 2024.01.31 |
ITIL - 인시던트 관리, 문제 관리 (1)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