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독립변수의 확률분포와 패턴을 통해 무작위 값을 반복 추출하여 결과를 근사적 추정하는 시뮬레이션 기법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미국 수학자 존 폰 노이만과 폴란드계 미국 수학자 스타니스와프 마르친 울람이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물질 속의 중성자 움직임을 알기위해 최초로 사용한 프로젝트 이름이다. 좀 어려운데,
불확실한 상황에서 원인이 되는 현상을 직접 실험할 수 없을 때, 시뮬레이션을 반복함으로써 그 현상을 확률적으로 발생시켜 평균적인 성질이나 경향을 파악하는 기법
이다. 난수(random number)를 이용해 표본을 추출하고 확률을 구해 의사결정을 위한 지표로 활용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
1. 난수를 통한 확률계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개념
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정의
- 일련의 난수를 반복적으로 생성하여 계산가능한 함수의 값을 확률적으로 계산하는 알고리즘
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특징
Random Number -정해진 범위에서 난수를 발생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계산
확률 모형 -분석해(Analytical Solution)의 풀이가 불가능한 경우가 다수 존재
반복 모델 - 생성되는 난수의 개수(n)에 비례하여 정확도가 상승
높은 산포 유리 -생성되는 난수의 산포가 고를수록 정확도가 상승
정확한 모델링 필요 -입력값의 확률분포와 정확한 수학적 모델링이 전제되어야 의미가 있음
- 적합한 범위에서 다수의 난수를 많이 생성시킬수록 정확한 수치해(Numerical Solution)의 근사치 접근 가능
- 기계학습을 포함한 예측, 추정기반의 업무분야에서 높은 활용성 보유
2.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적용사례
구분 내용 비고
Risk 예측
- 미래에 발생가능한 리스크의 추정
- 리스크의 범위, 정도, 결정요인 등 예측
리스크기반 테스트시 각 범위에 대한 정도 예측
테스트 오라클 - 테스트 케이스의 수립을 위한 경우의 수 예측 실제, 샘플링, 휴리스틱, 일관성
빛의 분산/분포
복잡한 형태를 가진 표면에 빛을 쐴 때 반사광의 분포 등 예측
난반사를 이용한 홀로그램 생성
- 발생가능한 경우의 수를 트리기반으로 생성
- 조합기반의 수학적 확률 계산
게임등에서 확률예측으로 사용
최근 알파고 알고리즘으로 주목
- 회로설계시 구성상의 소자와 구조에 대한 각각 Tolerance를 계산하고 예측
통신 시스템의 변복조 성능 및 에러복구율 계산에 활용
- 1940 년대에 폰노이만이 원자폭탄 개발시 중성자 확산 시뮬레이션에서 최초로 사용한 후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확산
- 예측기반에서는 강한 장점을 가지나, 사전에 명확하게 되어야하는 요소들의 충족이 필수적인 사항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적용시 필수 고려사항
구분 설명
Garage In, Garage Out
모형이 잘못될 경우 잘못된 결과를 도출
상기의 경우 모형이 잘못되었다는 점을 검증하기 어려움
처리시 일정수준 이상 리소스 필요
다소 복잡한 계산식 처리시 많은 추정량에 따른 계산시간이 소요
Scale Out 기반의 다수 Infra를 갖추어야 제대로 된 산정 가능
모델링 수립과정 & 결과분석 과정 에 많은 리소스 투입
모형 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
모형 구축이 잘 되어도 결과물은 통계학적 해석 필요
- 리소스 및 전문가 투입 측면에서의 적용상 어려움 존재
- 검증된 시뮬레이션 모델의 1 차원적 확산을 통해 적용상의 어려움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

728x90
'07.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러닝 - 전이학습 (Transfer Learning) (0) | 2023.10.13 |
---|---|
딥러닝 - 오토 인코더 (Auto Encoder) (1) | 2023.10.13 |
SW 개발 방법론 - MLOps: 머신 러닝 작업(Machine Learning Operations) (0) | 2023.10.11 |
품질관리 - 데이터 품질 - AI 품질관리 수행절차 (0) | 2023.10.11 |
인공지능 - 윤리 (1)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