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념) 사람의 얼굴 특징을 분석해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는 생체인식 기술
주간기술동향 1989,
인공지능과 얼굴 정보 처리 기술, 2021.3.24
플랫폼:
1) FRVT(Face Recognition Vendor Test–얼굴인식 밴더 테스트)
2) MdTF(Maryland Test Facility) 테스트
3) 스마트 패스(국내)
얼굴인식 과정은 CCTV 카메라를 사용해 사람의 얼굴을 캡처한 후에 눈과 눈썹, 코와 입, 턱 등의 얼굴 특징이 변하는 각 부위 60여 곳을 분석해 특징되는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이어 추출된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얼굴의 특징 데이터와 비교해 일치 여부를 통해 얼굴을 인식하게 됩니다. 얼굴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열상과 자외선을 이용하거나,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얼굴 영상은 노화, 머리카락의 색깔, 표정, 변장, 조명 방향에 따라 획득되는 얼굴 영상 데이터가 변화하기 때문에 고도의 보안이 필요한 분야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홍채인식 등 다른 생체인식 방법과 병행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피측정자에게 특별한 행위나 동작을 요구하지 않고 비접촉으로 피측정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얼굴인식 정확도 향상은 '숙제'=최근 들어 사용자 인증의 인식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얼굴정보와 응용에 관한 다양한 얼굴인식 기술 개발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투자와 법·제도 개선 필요
법·제도 개선 측면에서는 얼굴정보 자체가 인간의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얼굴정보 활용 시 얼굴정보 자체가 지닌 고유 특성과 사생활 침해 수준을 법이나 제도적으로 구체화해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런 것들이 해결된다면 얼굴인식 산업은 지문, 음성인식은 물론 생리적· 행동적 특징을 포함하는 홍채, 정맥, 걸음걸이 등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통합 솔루션이 개발돼 관련 산업 발전을 가속화시킬 전망입니다.
기존 2D 안면인식 기술이 사용한 적외선 생체 기술과 달리 3D SL 안면인식 기술은 사용자가 적절한 동작을 취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렌즈에 얼굴이 잡히기만 하면 바로 안면을 인식해 생체 검증을 완수한다.
안면인식 분석 시간에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으며 이전 1~2초를 1000분의 1초 단위로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얼굴 사진 이미지와 내장 카메라에 촬영된 동영상에서 즉시 본인 확인을 실시해 이용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부드러운 해제가 가능
https://www.globalict.kr/product/product_list.do?menuCode=040200&knwldNo=144443#none
728x90
'03.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정보 - 비식별 - 비정형 데이터 가명처리 (0) | 2024.11.14 |
---|---|
개인정보 - 비식별 - 개인정보 안심구역 (2) | 2024.11.14 |
핀테크 - 생체 인증 / 생체인식 - 아이트래킹(Eye Tracking) (0) | 2024.11.01 |
핀테크 - 생체 인증 / 생체인식 - FIDO (Fast Identity Online) (1) | 2024.11.01 |
핀테크 - 생체 인증 / 생체인식 - 지문 인식 (3) | 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