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원격으로 SW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

작업 장소나 시간, 국경, 고용형태의 다양성까지 확대

 

[개념]

원격지 개발은 발주기관과 협의한 장소에서 이뤄지던 기존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사업자가 지정한 장소에서 개발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는 주로 발주기관 혹은 발주기관이 지정한 장소에서 진행된다. 원격지 개발이 법적으로 금지돼 있는 것도 아니다. 작업장소에 관한 규정에 의거, 사업자가 필요한 경우 발주기관장의 승인이 있으면 사업투입인력을 원격지 개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2016년 12월부터 사업총괄수행자나 수행책임자(PM) 등 핵심인력을 제외한 투입인력에 대한 헤드카운팅 관례를 전면 금지하면서 원격지 개발 활성화 계기를 마련했다.

 

[현황]

하지만 여전히 핵심개발인력은 발주기관의 승인이 필요하고, 대외 감사 핑계를 들어 헤드카운팅을 진행한다고 기업들은 지적한다.

 

원격지 개발을 비롯해 수많은 공공SW 개선을 위한 제도가 만들어졌지만, 시장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SW 생태계 최하층에 있는 SI 개발자들은 하도급 구조로 야근·주말·파견근무 등이 빈번하고, 낮은 금전적 처우와 전문성 계발 부족으로 5D(3D+Dreamless+Deadness)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대안]

원격지 개발을 정착시키기 위해선 기간 별 로드맵 등 세부 추진안을 정해서 힘 있게 밀고 나가야한다

 

공공 사업뿐만 아니라 민간 분야로 원격개발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원격개발 유형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을 통한 성공사례 발굴이 필요

 

또 원격개발 승인 및 사업관리 절차 등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계획과 성과측정 및 평가 방안 등이 포함된 원격개발 가이드 개발도 필요

 

원격지 개발 시 보안 문제가 선결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보안문제 발생 시 후속조치를 위한 증거사슬(Chain-of-Evidence) 확보 방안 마련이 필요

 

원격지개발 관련 내용은 현재 진행 중인 SW산업진흥법 전면 개정안에도 포함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38&aid=0002058817

 

“공공SI 원격지 개발 활성화, 육아문제 해결에도 큰 도움” 의미있는 호소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외국은 수행사 여건에 맞춰 개발 장소나 시간 상관없이 결과물(성과)만 잘 내면 전혀 터치하지 않습니다. 원격(지) 근무에 앞서 발주사의 요구사항 명확화, 과업 변

news.naver.com

 

 

원격개발센터의 배경과 목적

 

 

 

원격개발센터의 구성

 

 

 

원격개발센터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공학적 요소

 

(http://www.sw-eng.kr/member/customer/Webzine/BoardView.do?boardId=00000000000000033787

 

http://gaja79.com/link/fow-mh1004.html

 

gaja79.com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