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feat. ChatGPT 5
AI 리터러시(AI Literacy)
- 정의(요지): 개인이 AI를 이해·활용·비판·협업하고, 사회적·윤리적 함의를 성찰하며 책임 있게 의사결정에 통합하는 종합 역량. 대표적으로 개념·데이터/모델의 한계·편향과 위험 인식·프롬프트/평가 능력·설명 요구·거버넌스 이해 등이 포함됩니다. Long & Magerko(2020)는 구체 역량 프레임과 학습 설계 고려사항을 최초로 체계화했습니다. ACM Digital Library
- 정책/교육 프레임워크: 유네스코는 학생용·교원용 AI 역량 프레임워크를 발표해 기초(개념·윤리)→활용(수업 통합)→창의/참여(공동 창작·책임 있는 사용) 단계로 정렬된 성취기준을 제시합니다. 유네스코+1unesdoc.unesco.org
- 측정/평가: 최근에는 AI 리터러시 측정도구의 체계적 검토(신뢰도·타당도 비교)와 간이형 척도(예: MAILS)의 추가 검증 연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사실 확인 능력, 한계·편향 인식, 프롬프트 설계, 결과 해석/근거 제시” 등을 다차원 지표로 삼는 추세입니다. NatureScienceDirect
AI 디바이드(AI Divide)
- 개념: 전통적 디지털 격차가 AI 접근·활용·혜택의 격차로 진화한 것. 하위 범주로 ① 접근 격차(모델·API·컴퓨트·데이터 접근), ② 역량 격차(AI 리터러시·제도적 지원), ③ 알고리즘 격차(알고리즘 이해/영향의 불균형), ④ 데이터 격차(고품질 데이터의 편중), ⑤ 연구·투자 집중 등으로 나뉩니다. 유네스코Stanford HAI
- 최근 동향과 근거
- 연구·투자/컴퓨트 집중: 글로벌 AI 투자·모델·컴퓨트 자원이 소수 국가·기업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화되며, 실사용·혁신 격차를 키웁니다(Stanford HAI AI Index 2024/2025). Hai ProductionStanford HAI
- 알고리즘/인지 격차: 집단 간 알고리즘 지식 수준 차이와 노출 차이가 새로운 디바이드를 만들고 있음이 보고됩니다. Frontiers
- 데이터 격차: 생성형 AI가 데이터 접근을 돕기도 하지만, 공개·품질·거버넌스 격차가 여전해 데이터 디바이드가 성과 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 The ODIThe ODI
- 국내·지역 격차의 실증: 생성형 AI 인지도·사용이 지역·소득에 따라 크게 다르다는 최근 실증 연구가 등장했습니다. arXiv
- 정책적 대응: OECD/UNESCO는 교육·기술·윤리·인프라 정책을 통합해 AI 리터러시 확산과 접근성 보장을 권고합니다. OECD+2OECD+2
논문·보고서 리스트(핵심 요지 포함, 연도순)
- Long & Magerko (2020). What is AI Literacy? Competencies and Design Considerations. CHI.
AI 리터러시의 정의·핵심 역량·교육 설계 원리를 체계화한 기초 연구. ACM Digital Libraryaiunplugged.lmc.gatech.edu - UNESCO (2024–2025). AI Competency Frameworks for Students and for Teachers.
학습자/교원을 위한 단계형 역량 프레임과 성취기준 제시(정책·교육 현장 적용 가이드). 유네스코unesdoc.unesco.org - npj Science of Learning (2024). A systematic review of AI literacy scales.
AI 리터러시 측정도구의 신뢰도·타당도 비교 및 선택 기준 제안. Nature - MAILS 검증 연구(2024). Meta AI Literacy Scale: Further validation… (Heliyon).
단문형 AI 리터러시 척도에 대한 추가 타당화·축약 검증. ScienceDirect - Frontiers in Communication (2024).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dawn of an algorithmic divide.
집단 간 알고리즘 지식·이해의 격차가 새로운 사회·정보 격차를 유발함을 실증 분석. Frontiers - ODI(2024). Democratising access to data: Bridging the data divide with generative AI models.
생성형 AI가 데이터 공개·활용의 장벽을 낮출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 PDF 원문 제공. The ODIThe ODI - arXiv(2024). The Emerging Generative AI Divide in the United States.
생성형 AI의 인지도·사용에서의 지역·사회경제적 격차를 실증적으로 제시. arXiv - Stanford HAI (2024/2025). AI Index Report.
연구·투자·컴퓨트 집중과 국가/산업 간 격차 추세를 데이터로 시각화. Hai ProductionStanford HAI - OECD(2024). Education Policy Outlook 2024; OECD AI·교육/역량 페이지.
교원 역량 및 AI 시대 교육정책 로드맵—AI 리터러시 확산의 정책 방향. OECD+2OECD+2 - Law & Policy(2020s). The Algorithmic Divide and Equality in the Age of AI.
알고리즘 접근·영향의 불평등과 법·정책적 시사점. scholarship.law.ufl.edu
(확인필요)
728x90
'07.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렌식 - AI 아티펙트 (0) | 2025.08.27 |
---|---|
생성형 AI - 추론 ‘inference’ vs ‘reasoning’ (0) | 2025.08.26 |
프론티어 AI(Frontier AI) (0) | 2025.08.22 |
RLM - 언어 추론 모델 (LRM; Language Reasoning Model) (5) | 2025.08.16 |
LLM - Open AI, GPT-OSS (5) | 2025.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