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념) 암호화된 결과가 원본 데이터와 동일한 형식(포맷)을 유지하도록 하는 암호화 기법
항목 | [설명] |
정의 | 암호화 전과 후의 데이터 형식(길이, 문자 유형 등)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방식 |
예시 | 전화번호 010-1234-5678 → 012-8943-2315 (형식 유지) |
주요 사용처 | 금융정보(카드번호 등), 개인정보(PII), 헬스케어, 규제준수 시스템 등 |
(특징)
- 포맷 유지
- 숫자 16자리 → 암호화 후에도 숫자 16자리 유지
- 특정 패턴이나 포맷(예: 신용카드 #### #### #### ####) 유지 가능
- 데이터베이스 구조 변경 없음
- 필드의 타입이나 길이를 바꿀 필요 없이 암호화 적용 가능
- 부분 복호화 또는 비식별화 가능
- 예: 앞 6자리 + 뒷 4자리 공개, 중간만 암호화 (123456******7890)
- 표준 존재
- NIST SP 800-38G: FPE를 위한 공식 블록 암호 모드 정의 (FF1, FF3 등)
(FPE 알고리즘 종류 (NIST 기준))
알고리즘 | [설명] |
FF1 (AES 기반) | 가장 널리 쓰이는 FPE 모드, 유연성 높음 |
FF3 / FF3-1 | 성능 우수하나, 일부 보안 이슈 지적되어 FF3-1로 개선됨 |
적용 사례
산업 | 적용 사례 |
금융 | 신용카드번호, 계좌번호, 거래내역 암호화 |
의료 | 주민번호, 환자 ID, 보험정보 보호 |
통신 | 전화번호, 고객 식별 정보 암호화 |
공공기관 | 주민등록번호, 운전면허번호 등 식별자 보호 |
관련 기술 비교
항목 | FPE | 일반 암호화 (AES 등) |
포맷 유지 | ✅ | ❌ |
암호화 결과 길이 | 원본과 동일 | 보통 더 김 (패딩 등 포함) |
성능 | 느릴 수 있음 | 일반적으로 빠름 |
복잡도 | 높음 | 보통 |
적용 난이도 | 중간~높음 | 낮음~중간 |
FPE vs 동형암호(HE)
항목 | 포맷 유지 암호화 (FPE) | 동형암호 (Homomorphic Encryption) |
주요 목적 | 형식(포맷)을 유지한 암호화 | 암호화된 상태에서 연산 가능 |
형식 유지 | ✅ (원본 데이터 포맷 동일) | ❌ (암호문은 난수처럼 무작위) |
암호화 후 연산 가능 여부 | ❌ (복호화 후 연산해야 함) | ✅ (암호문 상태에서 연산 가능) |
보안 수준 | 중간~높음 (적절한 알고리즘 사용 시) | 매우 높음 (동형암호는 강력한 수학 기반) |
성능 | 일반 암호화보다 조금 느림 | 매우 느림 (수십~수천 배 느림) |
주요 적용 분야 | 카드번호, 주민번호, 전화번호 등 포맷 유지가 필요한 데이터 | 민감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클라우드 연산 |
표준 | NIST SP 800-38G (FF1, FF3) | 없음 (Microsoft SEAL, PALISADE, OpenFHE 등 구현 존재) |
복호화 필요 여부 | 연산하려면 복호화 필요 | 연산 시 복호화 불필요 |
적용 난이도 | 낮음~중간 | 높음 (암호이론에 대한 이해 필요) |
실제 적용 시나리오 비교
시나리오 | 적합한 방식 | 이유 |
주민등록번호 암호화 후 형식 유지 필요 | ✅ FPE | 사용자 입력 포맷 유지, 시스템 수정 최소화 |
클라우드에서 민감 데이터 연산 (예: 암 진단 AI 모델 학습) | ✅ HE | 데이터 복호화 없이 안전한 연산 가능 |
은행 DB에서 계좌번호 보안 저장 | ✅ FPE | 숫자 포맷 유지로 기존 시스템 영향 적음 |
병원 데이터 분석을 외부 업체가 하도록 위탁 | ✅ HE | 데이터를 암호화한 채 전달해도 분석 가능 |
NIST SP 800-38G: FPE 알고리즘 FF1, FF3 표준 문서
https://csrc.nist.gov/publications/detail/sp/800-38g/final
728x90
'03.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 보안 - Agent - Meta, LlamaFirewall (0) | 2025.07.24 |
---|---|
사이버전 - 임무영향 분석(Cyber Mission Impact Assessment, CMIA) (0) | 2025.07.11 |
정보보안 - 국가보안 - 국가망보안체계 (N²SF: National Network Security Framework) (0) | 2025.06.20 |
개인정보 - 보호 - 법 해설서(안) (2) | 2025.06.06 |
클라우드 컴퓨팅 - 보안 (2)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