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에피쿠로스의 역설 핵심

에피쿠로스의 역설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1. "만약 신이 악을 없애길 원하지만 그것을 할 수 없다면 그는 무력하다. 이것은 신에게 어울리지 않는다."2
  2. "신이 악을 없앨 수 있지만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그는 악의적인 것이다. 신에게 적절치 않다."2
  3. "만일 신이 악을 없애길 원하지도 않고 할 수도 없다면 그는 악의적이고 무력하다. 신이라고 할 수 없다."2
  4. "신이 악을 없앨 수도 있고 그것을 원하기도 한다면, 이것이야말로 유일하게 신에 합당한 일이지만.... 왜 악이 존재하는가? 아니면 왜 신은 악을 없애지 않는가?"2

이 논증의 핵심은 단순합니다: 만약 신이 전능하고 선하다면, 세상에 악이 존재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악과 고통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2

역사적 배경

이 논증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그가 직접 남긴 것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문이 있습니다. 3세기 초의 그리스도교 신학자 락탄티우스의 저서에 등장하는 이 논증은 에피쿠로스가 한 말로 전해지고 있습니다.2 에피쿠로스는 인간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으로 환원해 죽음의 공포를 해소하고자 했으며, 무신론과 유물론의 입장을 취했습니다.1

신정론의 문제

신정론의 문제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악을 신에게서 답을 찾으려는 입장입니다. 악의 문제의 기원을 신에게 찾는 것, 더 솔직하게 말하면 신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무신론을 주장하려는 것입니다.1

세상에는 전염병, 전쟁, 자연재해와 같은 재앙들이 존재하며, 인간 사회 내에서도 불의와 악행이 반복됩니다. 신을 믿는 이들은 이런 고통 속에서도 신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그 신이 사랑과 정의의 화신이자 전지전능한 존재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우리가 마주하는 악의 문제는 그러한 주장을 정면으로 부정합니다.2

에피쿠로스 역설의 전제조건과 한계

이 역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전제조건을 바탕으로 합니다:

  1. 신의 존재(혹은 부존재)를 알 수(증명할 수) 있다.
  2. 신이 지닌 전지전능함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
  3. 선과 악을 절대적으로 명확하게 구분이 가능하다.3

그러나 이러한 전제조건들은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신의 존재 증명이나 부존재 증명은 "아무도 모르는 것"이며, 인간은 신이 전능한지, 전지한지, 선한지, 악한지를 평가할 수 없습니다.3

신학적 대응

신학에서는 악의 기원을 신에게서 찾지 않고 인간의 죄에서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악을 실체로 보지 않고 "선의 결핍", 즉 선이 없는 상태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하나님은 선만 창조하셨으며, 악은 창조된 것이 아니라 선이 타락하거나 결핍되거나 부재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1

일부 신학자들은 악이나 고통의 실체에 대한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보다, 악과 고통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 현상을 삼위일체 하나님의 절대적인 사랑과 능력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 현명한 처사라고 주장합니다.1

결국, 에피쿠로스의 역설과 신의 존재(부존재)에 대한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은 찾기 어렵습니다. "있을 수도 있지만, 없을 수도 있다." 이것이 그나마 가장 솔직하고 정당한 답일 것입니다.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