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분야 데이터 거래소의 기능
[1] 데이터 결합 통합 지원
ㅇ 결합을 통해 유용성이 증가하는 데이터의 특성상 데이터를 구매하여 보유 데이터와 결합ㆍ활용하려는 수요가 많습니다.
※ 데이터 결합 활용 예시(참고3) ① 보험정보(사고정보) + 차량안전장치 정보 → 보험료 할인상품 개발 ② 소셜 데이터(기업) + 종합주가지수 → 로보어드바이저 개발 ③ 공공정보 + 카드매출정보 → 상권분석 서비스 제공 |
⇒ 데이터 결합ㆍ활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금융권 데이터 거래소 운영기관(금융보안원)을 데이터 결합을 수행하는 데이터 전문기관으로 지정하여 데이터 유통ㆍ결합을 통합 제공하겠습니다.
[2] 안전한 익명ㆍ가명정보 거래ㆍ활용 지원
ㅇ 익명ㆍ가명정보는 충분한 비식별화 여부에 대한 부담, 구매자의 재식별 가능성 등으로 판매자가 판매에 적극적이지 못할 우려가 있습니다.
⇒ 판매자가 요청하는 경우 판매정보의 익명조치 적정성* 및 구매자의 익명ㆍ가명정보 보호대책 적정성을 거래소가 확인 후 데이터를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개정 신정법에서는 데이터전문기관의 업무로 익명조치의 적정성 평가를 규정
[3] 보안성 높은 거래 시스템 지원
ㅇ 금융 데이터는 유출시 개인의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등 민감성이 높은 정보로 거래시 정보보호조치가 중요합니다.
- 금융회사 등은 정보 유출 등에 대한 우려로 데이터 판매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금융회사 등이 데이터 판매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분석 플랫폼* 형태의 새로운 데이터 판매ㆍ제공 방식도 지원하고,
* 구매 데이터를 금융 빅데이터 거래소 내에서 분석ㆍ활용하고 결과만 반출 가능
- 거래소 자체적으로도 철저한 보안관제 등을 실시하여 거래소를 통한 데이터 유출 등을 철저히 방지하겠습니다.
https://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menu=7210100&bbsid=BBS0030&no=33632
보도자료(상세)
‘안전한 데이터 유통’금융 분야가 선도하겠습니다. 담당부서: 금융데이터정책과 등록자: 김영민 사무관 전화번호: 02-2100-2625 첨부파일: (2) - 금융분야 데이터 거래소 구축(’20.3월 시범�
www.fsc.go.kr

https://byline.network/2023/05/22-256/
금융데이터거래소, 데이터 종합 플랫폼으로 진화한다 - Byline Network
금융데이터거래소는 데이터 거래·유통시장 생태계 고도화를 위해 데이터를 사고파는 쇼핑몰(FinDX1.0)에서 데이터 종합 플랫폼(FinDX2.0)으로 확대·전환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먼저,...
byline.network
'01.Digital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서비스 - Open API - Vue, React (0) | 2023.05.24 |
---|---|
웹서비스 - Open API - Rest API (0) | 2023.05.24 |
데브옵스 (DevOps) - AIOps (0) | 2023.04.18 |
핀테크 - 오픈 뱅킹 (Open Banking) (0) | 2023.03.28 |
핀테크 - O2O, O4O (1)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