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근거법령) 전자정부법
행정전산망 장애를 예방하고 정보시스템 장애 발생 시 신속·체계적인 대응·복구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정부법' 개정안
2024년 1월에 발표된 '디지털 행정 서비스 국민 신뢰 제고 대책'의 후속 조치로 시행
각 시스템의 업무 영향도, 사용자 수, 서비스 파급도 등을 고려하여 1등급부터 4등급까지 분류하며, 등급별로 차별화된 관리 및 보안 대책을 적용
목적과 배경
1만 6000여 개의 행정정보시스템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도입
주요 변경사항
- 중요 등급 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노후장비 교체, 이중화 등에 대한 예산을 투자.
- 장애 대응 및 복구 우선순위를 정하는 등 등급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체계가 마련
등급 | 설명 | 예시 | 관리 방안 |
1등급 | 국가 안전보장과 직결되거나 대규모 국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 국가 재난 관리 시스템, 주요 행정 서비스 | 노후 장비 우선 교체, 이중화 적용, 안정성 강화 등 예산 집중 투자 |
2등급 | 국민의 생명, 경제, 국제통상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 금융 거래 시스템, 주요 의료 정보 시스템 | 중요도에 따른 보안 대책 마련 및 장애 대응 체계 적용 |
3등급 | 국민 건강, 복지 등 사회적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시스템 | 복지 혜택 관리 시스템, 교육 행정 시스템 | 단계적 통폐합 추진 및 관리 효율성 증대 |
4등급 | 일반 행정 업무 지원 및 단순 정보 제공 시스템 | 일반 행정 포털, 공공 정보 제공 시스템 | 단순 관리 및 운영 효율화 |
기대 효과
- 정보시스템의 중요도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
- 예산 투자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
- 장애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가능
추가 개선 사항
안정성 점검 체계 구축
-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에 대해 주기적으로 안정성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근거 마련
- 행안부가 안정성을 진단하고 각 기관에 개선 사항을 권고하며, 기관은 조치계획과 결과를 행안부에 통보하는 사전예방 점검체계가 구축
장애 사후관리 체계 강화
- 장애 발생 원인과 대응 과정을 분석하고 필요한 사항을 개선하는 장애 사후관리 체계 근거가 마련
- 범정부 차원에서 유사 장애 발생 시 해결방안을 공유하여 대응·복구 역량을 강화
https://zdnet.co.kr/view/?no=20241210175235
https://www.yna.co.kr/view/AKR20240516071200530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189965
728x90
'11.법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재산권 - 초거대 인공지능 등장에 따른 지식재산 쟁점 대응방안 연구 (3) | 2024.08.29 |
---|---|
프로젝트 관리 - 공공 SW - 8대 초거대 인공지능 공공 서비스 개발 (0) | 2024.07.16 |
지능형 로봇 (ROS) - 지능형 로봇법 (0) | 2023.11.17 |
빅데이터 - 데이터 소유권 - 데이터 3법 이후 마이데이터 보호에 관한 법적 연구. (1) | 2023.11.16 |
빅데이터 - 데이터 소유권 - 마이데이터 (MyData) - [Book Review] 이것이 마이데이터다 (1) | 2023.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