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MT-2030 목표
- 포용성: 모든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연결성 제공을 통한 디지털 격차 해소
- 연결의 보편성: 저렴한 연결성 및 기본 광대역 서비스를 보장하는 서비스 지역확대(인구 밀도 낮은 지역 포함)
- 지속가능성: 에너지 효율 향상, 저전력 기술 지원, 온실가스 배출 및 자원 소비감소 지원 등
- 혁신성: 연결성, 생산성,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 지원
- 강화된 보안 및 복구성: 6G 시스템의 설계, 상용화, 운용의 핵심 사항으로 고려
- 표준화 및 상호 운용성: 동일 또는 다른 제조사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이 완전히 기능적이고 상호 운용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동작하는 것을 보장
- 상호 연동성: IMT와 비지상 네트워크와의 긴밀한 연동을 통한 서비스 연속성 지원 및 사용자에게 유연성 제공. 기존 IMT 시스템으로부터 원활한 전환 지원
2. IMT-2030의 사용 시나리오
- Immersive Communication: IMT‑2020의 초고속(eMBB)을 확장하여 사용자에게몰입형 통신 경험을 제공하는 사용 시나리오
- Hyper 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IMT‑2020의 초저지연(URLLC)을 확장하여 더 엄격한 요구 사항(안정성, 지연시간 등)을 요구하며, 요구사항을충족하지 못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사용 시나리오
- Massive Communication: IMT‑2020의 초연결(mMTC)을 확장하며, 광범위한 환경에서 다양한 유형의 장치와 센서의 유비쿼터스 연결을 제공하는 사용 시나리오
- Ubiquitous Connectivity: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연결성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사용 시나리오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분산 컴퓨팅과 AI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신규 사용 시나리오. IMT 시스템의 다양한 지능형 노드에서 데이터수집, 로컬 또는 분산 컴퓨팅 오프로드, AI 모델의 분산 학습 및 추론을 활용하여통신 서비스 이상의 놀라운/전문적인 사용 예를 제공
- Integrated Sensing and Communication: 감지 기능이 필요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지원 신규 시나리오. IMT 시스템을 활용하여 광역 다차원 감지를제공하여, 연결되지 않은 물체와 연결된 장치 및 그 움직임, 환경에 대한 공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나리오
3. IMT-2030의 핵심성능지표
- IMT-2020에서 향상된 기존 항목: 최대전송속도, 사용자체감속도, 주파수 효율,면적당 트래픽 용량, 연결 밀도, 이동성, 지연시간, 신뢰성, 보안 및 복구성
- IMT-2030에서 새롭게 정의된 신규 항목: 커버리지, 포지셔닝, 센싱 지표, 인공지능 지표, 지속가능성, 상호운용성
4. 표준화 일정
'05.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W 가상화 - 오픈랜(Open RAN) (2) | 2024.10.01 |
---|---|
6G - 핵심기술 - 초대규모 다중입출력 MIMO (Extreme massive MIMO: E-MIMO) (0) | 2024.08.29 |
클라우드 컴퓨팅 - 분산 클라우드 (클라우드 3.0) (0) | 2024.07.31 |
클라우드 컴퓨팅 - 보안 - CSAP(클라우드 보안인증) 등급제 (3) | 2024.06.13 |
데이터센터 - 전력계통 영향평가 (0)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