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연산 중심의 아키텍처(compute-centric architecture) -> 데이터 중심의 아키텍처로 변경
 
[개념] 데이터센터와 디바이스, 그리고 네트워크 간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에 CPU 혼자 대응하기 힘들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를 전문으로 하기 위해 등장한 프로세서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업의 데이터센터에서 활용
CPU 상에서 구동되던 데이터 관련 기능을 DPU가 담당
 주로 스마트 *NIC(Smart NIC)와 통합된 형태로 사용
SDDC에서 다수 User 내 클라우드 접속시 CPU 과부하 Reduce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 :  단일 컴퓨터 간 네트워크를 담당하는 컨트롤러
*스마트 NIC:  스토리지, 컴퓨팅 가속화 기능이 융합
 
시스템의 ▲보안 ▲데이터 저장(storage) ▲인프라 관리 ▲타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킹 등을 담당
 
[기술] NVMe 기본, 오픈스택 및 쿠버네티스 가속 지원
 
 
[OS]  도카(DOCA) :  데이터센터 단위의 프로그래밍
  • 사용자 임의로 선택한 프로세서에만 데이터를 할당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
  • 데이터센터 단위의 프로그래밍 가능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원격 측정을 통한 인프라 앱을 만들 수 있다. 주요 클라우드 OS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블루필드 2 DPU를 포함한 블루필드의 다른 제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Product] 

 

 

엔비디아 블루필드-2 : 
프로그래밍 가능한 멀티코어 ARM CPU, 최첨단 200G/100G 스마트닉(SmartNIC) 네트워킹, 고성능 PCIe 인터페이스 및 강력한 네트워킹, 스토리지 및 보안 가속기를 결합한다. 엔비디아 DPU는 중요한 작업을 오프로드하여 호스트 CPU의 부담을 덜어주므로, 운영체제 또는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를 운영하는 서버의 보안, 효율성 및 처리능력을 향상하는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https://egstory.net/edge-news/edge-story/1817/

 

DPU(Data Processing Unit)를 아시나요? - 루바루바의 엣지있는 네트워크 이야기

데이터 처리 장치(DPU)는 서버가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종류의 프로그래밍 가능

egstory.net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