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념) 국제표준인 SBAS(Satellite Base Augmentation System)의 한국형 명칭으로 ICAO에 공식 등재(‘17.10)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 항공용으로 표준화된 KASS(SBAS) 시스템은 최근 측정된 실제 위치신호는 1m 이내로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기본적 원리는 다음과 같다.
 
지상에 고정 설치된 기준국(5~7개소)에서 GPS 신호(9~17m 오차) 수신하여,
중앙처리센터에서 수집, 오차값 보정하고,
우리나라 상공의 정지궤도위성으로 보정된 값을 송신하면,
최종적으로 정지궤도위성에서 보정된 신호를 GPS와 같은 신호로 우리나라 육․해․공 전역에 서비스하여,
항공기, 드론, 해양선박, 내비게이션, 핸드폰 앱 등 위치정보서비스 4차 산업에 응용 활용
 
ㅇ 동작원리는 간단하지만, 실제 항공기 정밀계기착륙(APV*) 할 때 사용되어, 수평 외에도 수직(착륙각) 위치 정밀도와 신뢰도 측면 등에서 안정성이 보장되도록 설계되고, 복잡한 절차를 거쳐 개발되어야 하는 만큼,
 
* 위성을 이용한 ICAO 정밀착륙등급용어(Approaches with Vertical guidance)
 
2년간의 공개서비스 기간을 거쳐 정밀보완 및 비행검사 등 신호의 정확성 검증한 이후에 ‘22년 하반기 항공용으로 활용하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본부(캐나다 몬트리올)에서 미국 우주미사일사령부(SMC)와 한국형 GPS 정밀위치보정시스템(KASS) 정지궤도위성의 고유한 식별코드(PRN) 획득을 위한 기술협력 회의를 개최한다고 4.23.(월) 밝혔다. 
 
- 오는 4월 24일부터 25일까지 양일간 ICAO 본부에서 한·미 당국 관계자들이 만나 KASS GPS 정밀위치보정신호를 송신 할 수 있는 정지궤도위성 서비스에 대한 우리나라 당국의 의지와 기술사항을 논의하고 식별코드 부여를 위한 세부 절차에 합의하게 될 예정임. 
 
- 이에 따라, 이르면 7월에 고유식별코드가 배분되고, 개발 중인 KASS시스템에 입력되어 보정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컴퓨터, 기준국 등이 2019년 설치되면 시험을 거쳐 ‘20년 하반기에는 우리나라 전역에 GPS 위치신호가 보정된 정교해진 위치서비스를 국민 누구나 받을 수 있게 됨. 
 
- “KASS”는 우리나라 상공의 정지궤도 위성에서 GPS와 동일한 주파수로 송신하기 때문에 항공기를 제외하고는 별도의 수신기를 필요치 않아, 누구나 쉽게 일반 드론, 내비게이션, 모바일 폰의 위치 맵 등을 응용한 길찾기 등에 활용 가능하여 4차 산업 활성화와 경제적편익 및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참고> 
1. KASS 개발구축 사업개요 
2. KASS 구성 및 서비스 개념 
3. KASS 리플렛 홍보자료 
4. KASS 인포그래픽 홍보자료 2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