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멘딕스의 노코드 로우코드 플랫폼(이미지=멘딕스) https://zdnet.co.kr/view/?no=20230430044336

 

(개념)  클라우드 기반으로 출현한 시각적 모델링과 선언적 기술*로 앱을 신속하고 쉽게 개발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도구(Forrester, ‘14) 이며 신기술과 새로운 해결책의 탐색, 개념 증명 등에 사용됨 
* 드래그 앤 드롭 디자인 기능과 선언·설정하는 방식의 데이터 모델링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코드 보다 시각적 도구를 중시하게 됨
 
LG CNS의 노코드 플랫폼 데브온 NCD(이미지=LG CNS)
- 로우코드, 노코드 플랫폼을 로우코드 플랫폼이라 통칭하며, 특히 노코드 플 랫폼은 일반 사용자도 코딩 관련 사전지식 없이 드래그 앤 드롭 등을 통해 응용SW 구성 요소를 추가하도록 하여 앱을 만들 수 있도록 함 

 

 
프로그래밍을 배우지 않은 실무자가 직접 앱을 만드는 방식
품질 관리가 어렵고 보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배경)  IT 기술 고도화와 대형화, 기술 저변 확대
(기술)

 

 

(고려)  □ SW 생명 주기 전반의 관리를 지원하며 현업과 IT 부서간의 협업과 소 통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회복 탄력성, 확장성 및 보안성을 지원할 수단 을 제공해야 함 
ㅇ (앱 생명주기 지원) 앱의 개발·운영·성능 관리의 전 생명주기의 지원 가능성 
ㅇ (사용자 경험) 몰입형, 대화형 통합 개발 환경을 웹/모바일로 제공하여 생산성과 편의성을 향상해야 함 
ㅇ (협업 기능) 숙련된 개발자와 현업 직원을 각각 식별해야 하며 이들의 실시간 협업을 돕는 작업·메시지 로깅 및 승인, 충돌 해결이 가능해야 함 ㅇ (데이터 통합) 데이터 보안 위협과 손실을 방지하면서도 모든 소스에 서 데이터를 쉽게 찾고 해석과 사용이 가능해야 함 
ㅇ (클라우드 지원) 최종 산출물 앱의 회복 탄력성, 확장성 및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앱 개발이 가능해야 함
 
(대안) 클라우드 컴퓨팅
- 클라우드 환경은 로컬 프로세서의 제약에서 자유로워 사전에 제작된 고품질 모듈을 마이크로 서비스 형태로 구성
- 통합 가상환경 기반인 만큼 프로그램에 필요한 성능을 쉽게 확보할 수 있고, 배포와 업데이트, 관리가 유리하다는 장점
 
노코드는 사무직원 등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지 않은 비 개발자도 짧은 교육 만으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와 사용법을 가진다.
 
실무자가 직접 만드는 만큼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업무에 적용하고 분석, 평가, 개선까지 이뤄지는 주기가 짧아 급변하는 IT산업 트렌드에 적합하다.
 
특히 전문 개발자의 업무량을 줄여 시스템 구축 등 중요한 업무에 투입되는 인원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동안 국내 IT기업은 노코드 플랫폼 도입을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기존 개발방식과 달라 적용사례를 확인하기 어렵고, 복잡한 서비스에 활용하거나 관리가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데브온 NCD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순서도(Flow Chart) 형태로 시각화한 노코드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기능 별도의 코딩 없이 마우스로 사전에 마련된 기능 템플릿을 드래그해 순서에 맞춰 연결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사전 기획 단계의 순서도 작성을 그대로 개발에 적용할 수 있어 개발속도를 단축할 수 있고, 개발 도중에도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내부 구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노코드(No code) 및 노우코드(Low code)로 자동화된 기능은 수천 개의 예제를 통해 컴퓨터 코드를 읽고 쓰는 방법을 학습한 정교한 언어 모델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나 명시적 지시 없이 큰 데이터 세트에 대해 훈련된 다른 딥러닝 모델과 마찬가지로 코드 처리를 위해 설계된 언어 모델에는 취약성이 따른다는 것

 

연구팀이 구축한 코딩 AI는 자동화 된 프로그래밍 도구의 약점을 찾아내고 수정하여 공격에 노출되도록 하며,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작성하고 제안할 때 하나의 도구(그림)가 함께 읽는다. 여기에서는 Python의 NumPy 라이브러리에 있는 수천 가지 옵션 중에서 현재 작업에 가장 적합한 함수를 선택한다.(사진:MIT)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모델의 약점을 드러내기 위해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프레임 워크를 제안했다.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에서 텍스트를 추가하거나 바꾸면 모델이 가장 큰 오류를 일으키는 사이트를 식별한다. 또 어떤 종류의 편집이 가장 큰 위협이 되는지 식별한다. 모델을 공격하고 그러한 특정 악용에 대해 재교육하기 위한 연구팀의 프레임워크는 잠재적으로 코드 처리 모델이 프로그램의 의도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적화된 난독화를 이용한 적대적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Generating Adversarial Computer Programs using Optimized Obfuscations)’
 
 
 
  • 로우코드(low-code)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임
  • 소프트웨어 컨설팅을 하면서 로우코드의 빠른 개발 시간과 낮은 유지 보수 비용을 약속하는 광고에 이끌린 클라이언트들을 자주 만남
  • 클라이언트들이 만족하지 못하는 몇 가지 이유가 존재함

맞춤형 기능에 대한 한계

  • 로우코드 솔루션은 기업 요구 사항의 약 80%를 충족시키지만, 나머지 20%는 기본 기능으로 해결 불가능
  • 로우코드 도구 마케터들은 나머지 20%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맞춤화가 필요하고 때로는 불가능함
  • 기업은 도구의 기본 기능이 충분히 가까운지, 아니면 도구를 해킹하여 정확한 사용 사례에 맞추려고 시도할지 선택해야 함

개발자 풀의 제한

  • 기업들은 때때로 로우코드 도구를 해킹하여 100%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려고 시도함
  • 결과적으로 특정 도구나 독점 언어로 많은 맞춤 코드를 작성하게 되어 이해할 수 있는 개발자가 매우 적음
  • 이제 회사는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언어 개발자 풀에서 모집하는 대신, 이 도구에 매우 전문화된 유지 관리자를 찾아야 함

플랫폼 업그레이드의 문제

  •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면서 연동되는 것들이 깨지지 않게 하는 것은 어려움
  • 로우코드 도구는 로우코드 도구가 설계되지 않은 사용 사례를 위해 임의의 코드를 처리해야 함
  • 엄격한 API 계약을 통해 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맞춤 코드가 내부에서 온갖 장난을 치는 것을 많이 봄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혼란

  • 정밀한 분석이 필수적인 프로세스에 로우코드 도구를 사용하는 기업을 봄
  • 그러나 기본 데이터 모델을 살펴보면 이해할 수 없는 상태임: user_attribute_47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애플리케이션의 페이지 1에서 페이지 2로 필드를 이동하면 데이터가 별도의 필드에 있음?

GN⁺의 의견

  • 로우코드는 개발 속도와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유망한 도구이지만, 실제 사용 시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음.
  • 특히 맞춤형 기능이 필요한 경우나 특정 로우코드 도구에 의존하는 개발 언어의 사용은 개발자 풀을 제한하고 유지 보수를 어렵게 만듦.
  • 로우코드 도구의 업그레이드와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복잡성은 장기적인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 중요한 고려 사항임.
  • 이 글은 로우코드 도구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을 지적하며, 적절한 사용 사례에 대한 신중한 평가를 권장함으로써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함.

Hacker News 의견

  • 저개발 코드에 대한 다양한 관점
    • 저개발 코드 플랫폼 개발자의 관점
    • 저개발 코드는 판매하기 쉬움. IT 부서를 문제로 몰고 기존의 불만을 이용하는 전략을 사용. 데모에서는 간단한 작업을 빠르게 보여줌. 하지만 핵심 비즈니스 로직은 저개발 코드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좋음. 복잡한 작업은 전문 시스템으로 오프로드되는 것을 가정. 큰 기업에서 기술적 지식은 있지만 IT 권한은 적은 팀에게 유용. 저개발 코드는 간단한 도구로 많은 문제를 해결하지만, 확장성이 떨어지고 강력한 중앙 시스템과 협력해야 함.
    • SRE(사이트 신뢰성 엔지니어)의 관점
    • 저개발 코드에 대해 회의적. 소스 코드 관리가 부족하고, 문서화가 잘 되어 있지 않음. 많은 맞춤 코드가 필요하지만 재사용성이 떨어짐. 독점적인 런타임 요구, 모니터링이 어려움. 실제로 엔지니어가 작업을 수행하고, 비엔지니어가 사용하는 경우는 보지 못함. Looker 같은 도구는 소스 코드 통합이 가능하지만, 여전히 엔지니어가 사용함. 복잡성을 압축하지만 필요에 따라 사용자 정의 및 확장 가능한 플랫폼을 선호함.
    • 마이크로소프트 저개발 코드 플랫폼에 대한 관점
    • MS 저개발 코드 플랫폼에 관심이 있었지만, O365와 Azure 위에 복잡하게 구축된 것으로 보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부실하고, 장기적으로 비용 절감보다 사용성 문제로 인한 손실이 더 클 수 있음.
    • MS-Access 데이터베이스/폼 솔루션을 전환하는 비즈니스 경험
    • 비개발자/최종 사용자가 IT 부서를 거치지 않고 만든 MS-Access 솔루션을 진정한 .net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비즈니스를 구축함. 저개발 코드 솔루션은 일부 문제를 해결하거나 POC를 작동시키는 데 유용하지만, 규모 확장이나 적응이 필요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SQLPage 웹사이트 빌더 개발자의 관점
    • 저개발 코드 솔루션은 외부 "고코드" API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탈출구가 있어야 함. SQLPage에서는 sqlpage.exec를 통해 이를 제공. 저개발 코드 플랫폼의 업그레이드가 맞춤 구현을 깨뜨릴 수 있는 문제가 있음. 대부분의 저개발 코드 도구는 데이터를 인질로 삼지만, SQLPage는 사용자가 여전히 완전히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위에 레이어를 추가함.
    • 기업 수준의 저개발 코드 도구에 대한 반대 의견
    • 대기업이 사용하는 저개발 코드 도구에 반대. 대기업은 적절한 개발 팀과 계획, 조직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함. 코드가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나쁜 개발자가 나쁜 도구를 사용하여 나쁜 결정을 내리는 것이 비용을 발생시킴.
    • 저개발 코드와 추상화 계층에 대한 관점
    • "저개발 코드"는 직접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코드의 표면적이 적지만, 실제로는 많은 코드가 숨겨져 있음. 추상화 계층은 목적에 잘 맞을 때 강력하지만, 누수가 있거나 부적합할 때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저개발 코드는 특정 용도에 맞춰진 코드를 추상화하지만, 실제로는 특정 도메인 경험이 필요함.
    • Bubble/Airtable을 사용하여 MVP를 구축한 경험
    • 우크라이나 팀으로부터 MVP 구축 견적을 받았지만, 인턴을 고용하여 Bubble/Airtable을 사용해 제품을 두 달 만에 만들고 6개월 내에 유료 고객을 확보함. 거의 두 해 동안 전통적인 스택으로 이동할 이유를 찾지 못함.
    • 저개발 코드 학습 과정 개발의 공포 이야기
    • 중요한 회사가 저개발 코드 학습 과정 생성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사용하여 마케팅 및 영업 직원을 위한 내부 학습 과정을 개발함. 몇 년 후 과정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생겼지만, 개발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가 없어 문제가 발생함.
    • 저개발 코드 구현의 버전 관리 가능성에 대한 질문
    • 저개발 코드 구현을 버전 관리에 넣을 수 있는지,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의 원인을 찾을 수 있는지, 무료 도구를 사용하여 특정 커밋으로 롤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 제기.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기능이 없어 심각한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음.
 
 
 

인간처럼 코드를 추론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의 여정과 도전! - 인공지능신문

위드 코로나 시대, 기업에서 어떤 비지니스를 하든지 패턴이 바뀌고 재고 관리에서 고객과의 상호 작용에 이르기까지 모든 접점에서 소프트웨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결과 개발자의 수요

www.aitimes.kr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1035076&memberNo=38254758
 

팔란티어 IBM과 AI 위한 '노코드·저코드' 환경 '팔란티어 IBM 클라우트 팩 데이터' 출시 - 인공지능

지난해 9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빅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Palantir Technologies)가 IBM과 비즈니스를 위한 인공지능(AI)를 제공하는 파트너십을 발표했다.이 파트너십을

www.aitimes.kr

https://zdnet.co.kr/view/?no=20210329184238

 

노코드 플랫폼, 개발자 구인난 대안으로 부상

LG CNS의 '데브온 NCD' 등 노코드 플랫폼이 개발자 부족 현상에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노코드 플랫폼을 사용하면 기존 대비 10분의 1 수준의 교육...

zdnet.co.kr

 

 

https://nick.scialli.me/blog/why-im-skeptical-of-low-code/

 

Why I'm skeptical of low-code - Nick Scialli | Senior Software Engineer

Why I'm skeptical of low-code I’m skeptical of low-code. When I was doing some software consulting, I would get clients who had been drawn to low-code all the time for the promise of fast development time and low maintenance cost. The client ended up not

nick.scialli.me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