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표준화지침(웹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구현 시 전자정부 웹호환성 준수지침 및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HTML, XHTML, CSS 및 ECMA의 ECMAScript 표준을 준수하여 유지보수성 및 주요 웹브라우저에서 호환성을 확보)에 따라 웹접근성 인증마크 획득
한국형 웹 컨텐츠 접근지침 2.0(KWCAG 2.0)
- 인식의 용이성 : 대체 텍스트, 멀티미디어 대체 수단, 명료성 [대멀명]
- 운용의 용이성 : 키보드 접근성, 충분한 시간 제공, 광과민성 발작 예방, 쉬운 내비게이션 [키충광쉬]
- 이해의 용이성 : 가독성, 예측 가능성, 콘텐츠의 논리성, 입력 도움 [예콘가입]
- 견고성 : 문법 준수,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가이드라인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제작방법가이드
ATAG(Authoring Tools Accessibility Guidelines) 개발자도구측면
UAAG(User Agent Accessibility Guidelines) 사용자도구측면
웹서비스의 힘, 보편성 강조 |
정보취약계층 비차별 , 환경 구애받지 않고 구현 |
컨텐츠 접근지침 (KWCAG 2.0) : 인운이견 |
접근성 가이드라인 (WCAG , ATAG , UAAG)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이 TTA 단체 표준으로 공표 |
이 표준은「지능정보화기본법」
- 제47조(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 등)
- 시행령 제37조(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을 위한 인증기관의 지정 기준 등)에 근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지정한「웹 접근성 품질인증기관」이「지능정보화기본법」
- 시행령 제36조(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 기준)
- 제40조(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 절차)
- 시행규칙 제4조(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의 세부기준 등)
- 제9조(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의 절차)에서 규정한 동일한 심사 절차를 진행함에 따라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기업 및 단체들도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인증마크를 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웹 접근성 품질인증 심사 접수부터 발급까지 단계별 준수사항, 심사 환경 및 방법, 부분별 심사 세부 지침을 기술하였다.
웹 접근성 품질인증 제도 추진 근거법률(지능정보화기본법, 2022년 7월21일 개정)개정과
기술심사 기준인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2.2”(KS X OT0003:2022, 2022년 12월28일 개정, 방송통신 국가표준)의 개정,
인증심사(전문가심사,사용자심사) 개정 사항 등을 반영하였다.
[용어]
-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웹 사이트, 도구, 기술이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개발된 것.
[출처] https://www.w3.org/WAI/fundamentals/accessibility-intro/ko
- 웹 접근성 품질인증(Web Accessibility Quality Certification) 웹 사이트가 「지능정보화기본법」 및 동법 시행규칙에 따라 웹 접근성 보장 여부를 종합 평가하여, 설정기준 이상의 품질수준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
- 웹 접근성 품질인증기관(Web Accessibility Quality Certification Organization) 「지능정보화기본법」 제47조제2항, 동법 시행령 제37조제1항 및 시행규칙 제4조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지정한 웹 접근성 품질인증을 위하여 지정한 인증기관.
- 품질인증 신청기관 「지능정보화기본법」 제48조제1항에 따라 웹 접근성 품질인증을 받으려고 「웹 접근성 품질인증기관」에 웹 접근성 품질인증 신청기관, 단체, 기업, 개인 등
표준검색 - TTA 대표홈페이지
웹 접근성 품질인증 표준심사 지침 TTAK.KO-10.1012/R1 2024-12-06 개정 유효 없음 웹 접근성 품질인증 표준심사 지침 TTAK.KO-10.1012 2017-12-13 제정 유효 없음
www.tta.or.kr
'01.Digital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 서비스형 양자컴퓨팅(QCaaS, Quantum Computing as a Service) (0) | 2025.06.28 |
---|---|
빅데이터 - 분석기술 - 데이터 마이닝 - SNA (Social Network Amalysis) (0) | 2025.06.27 |
클라우드 컴퓨팅 - 서비스 - 공공 클라우드 - 공공부문 SaaS 이용 가이드라인 (작성중) (0) | 2025.05.22 |
클라우드 컴퓨팅 - 서비스 - 공공 클라우드 (4) | 2025.05.22 |
클라우드 컴퓨팅 - 서비스 - 공공 클라우드 -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 (0)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