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모크 테스트
매뉴얼, QA, Confidence Test, build verification test (BVT), build acceptance test
1. 스모크 테스트 : 1) 본격적인 테스트의 수행에 앞서,
2) 시스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 테스트 대상이나 제품의 빌드(제품 설치 패키지)가 구축된 테스트 환경에서
3) 테스트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주요 모듈이나 시스템을 간단하게 테스트 하는 것.
2. 스모크 테스트 특징 : 1) 테스트 환경을 테스트 2) 제3자 테스트 팀 또는 개발팀내의 테스트 팀 수행 3) 테스트 시나리오 없이 수행
3. 스모크 테스트 구성요소 :
1) 메뉴얼 : 시스템,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등의 구동을 위한 운영자 메뉴얼 / HW,SW메뉴얼
2) Build : 스모크 테스트의 대상이 되는 제품의 빌드 (또는 설치 패키지) / Daily Build
3) 테스터 : 스모크 테스트 수행을 위한 제3자 테스트팀 또는 개발팀 내의 테스트팀 / QA
4) 테스트 분석 정보 : 스모크 테스트를 통한 결과물. 테스트 대상이나 제품의 빌드가 완성도가 낮을 경우/스모크 테스트 결함 보고서
5) 인프라 : 테스트 수행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 / 서버, 솔루션
4. 스모크 테스트 수행 절차
1) 사전준비 : 스모크 테스트 수행을 위한 시스템 환경 구성 / 시스템구성도, 매뉴얼
2) Build : 스모크 테스트의 대상이 되는 제품의 빌드 (또는 설치 패키지) / 프로그램, 패키지
3) 테스트 수행 : 주요 모듈이나 시스템을 간단하게 테스트 / 테스트 계획서
4) 결과보고 : 테스트 수행 결과보고 제품 완성도를 높이는데 활용 / 테스트 결과서
1. 스모크 (Smoke) 테스트의 개념
가. 스모크 테스트 정의
- 소프트웨어 릴리스 이전에 수행하는 간단한 사전 테스트로써 (이때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면 소프트웨어 릴리스가 중지됨) sanity test, confidence test, build verification test (BVT), build acceptance test와도 혼용되어 사용됨
- 스모크 테스트에서 문제가 발견되는 경우, 보다 세밀한 (fine-grained) 테스트가 수행되는데, 이 때문에 intake test라고도 불리움
- 다른 의미로써는, 본격적인 테스트의 수행에 앞서, 시스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 테스트 대상이나 제품의 빌드 (제품 설치 패키지)가 구축된 테스트 환경에서 테스트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주요 모듈이나 시스템을 간단하게 테스트 하는 활동을 의미
- 전자 회로 기판에 전원을 넣었을 때, 기판에서 연기가 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에서 유래된 용어임.
나. 스모크 테스트 특징
- 테스트 환경을 테스트
- 제3자 테스트 팀 또는 개발팀 내의 테스트 팀이 수행
- 테스트 시나리오 없이 수행
- 디테일한 테스트 수행 전 빌드의 정상적 Health 체크를 위해 수행
2. 스모크 테스트 구성요소 및 수행절차
가. 스모크 테스트 구성요소
구성요소 |
내용 |
사례 |
매뉴얼 |
|
|
Build |
|
|
테스터 |
|
|
테스트 분석 정보 |
|
|
인프라 |
|
|
나. 스모킹 테스트 수행절차
![]() |
수행절차 |
내용 |
관련 산출물 |
사전 준비 |
|
|
빌드 |
|
|
테스트 수행 |
|
|
결과 보고 |
|
|
“끝”
'02.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 테스트 - Record & Replay(임베디드) (0) | 2020.06.26 |
---|---|
SW 테스트 - 경계값 분석 (0) | 2020.06.26 |
SW 아키텍처 - 평가 - CBAM (0) | 2020.06.26 |
SW 테스트 - 탐색적 테스트 (0) | 2020.06.26 |
SW 테스트 - 테스트 오라클 (0) | 2020.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