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품질 - SP 인증

02.SW 2020. 6. 23. 17:35
728x90
반응형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기준이란?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기준」이란 소프트웨어 기업 및 개발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역량 수준을 심사할 때 활용하는 기준을 의미합니다.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기준은 조직의 프로젝트 수행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핵심 활동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직은 인증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 활동의 수행을 통하여 프로세스 역량수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기준은 5개 영역, 17개 평가항목, 70개 세부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등급이란?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등급」이란 인증신청 조직의 품질역량 수준을 심사한 결과를 의미하며, 해당 조직의 품질역량을 프로젝트에서 조직 차원으로 유도하기 위한 계층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인증등급은 2개 등급(2등급, 3등급)만 유효 수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1등급

2등급- 프로젝트 관리, 개발 지원

3등급 - 조직관리 프로세스 개선 프로젝트 관리 개발 지원

 

 

 

SP인증은 소프트웨어(SW)기업과 개발 조직 대상으로 'SW 개발 프로세스 품질역량 수준'을 심사해 등급을 판정한다. 한국형 역량성숙도모델통합(CMMI)을 표방한다. 자체적으로 체계적 프로세스 품질 관리 역량을 확보하기 힘든 영세 중소기업 대상이다.

 

김 의원은 “SP인증을 받더라도 '인증심사 유효기간' 3년 내 갱신 받는 비율이 낮다”면서 “갱신이 실시된 2012년 44%, 2013년 13%, 2014년 8%, 2015년 42%, 2016년 50% 등으로 연 평균 갱신률은 31.4%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SP인증도 우선구매제도 대상에 포함하거나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 등을 요구했다. 윤종록 NIPA 원장은 “인증 혜택이 없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인증을 받아 수익성을 높이도록 업계에 강조하겠다”고 말했다.

 

(http://www.etnews.com/20171017000371

 

[2017 국정감사]NIPA·KISA·NIA 국감, SP인증제도와 정보보호 정책 문제 지적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공공기관 국정감사에서 소프트웨어 인증제도와 정보보호 등 다양한 문제들이 지적됐다.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www.etnews.com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