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브리프 Vol.302]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내외 치료제 및 백신 개발 현황과 과제
전환주, 김창용, 이승환(제약바이오산업단 제약바이오산업기획팀)
윤상순 부장(㈜다이노나)
김승택 박사(한국파스퇴르연구소)
송영훈 그룹장(특허정보진흥센터)
[목 차]
I. 배경
II. 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 개요
III. COVID-19 치료제 및 백신개발 글로벌 현황
1. 파이프라인
2. 치료제
3. 백신
IV. COVID-19 치료제 및 백신개발 국내 현황
1. 치료제
2. 백신
V. 국내외 정책사례
VI. 당면 문제
Ⅶ. 결론 및 정책적 제언부록.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특허 현황
I. 배경
■ 발생 및 현황 개요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COVID-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발생하여 초기 ‘우한 폐렴’이라고 불려졌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호흡기 감염질환임
- 초기에는 원인과 전파 경로를 정확히 알 수 없는 호흡기 전염병으로만 알려졌으나 세계보건기구(이하 ‘WHO’)가 2020년 1월 9일 해당 폐렴의 원인이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 ‘20.2.11 명명)라고 밝히면서 병원체가 확인
◎ 중국에 이어 코로나19 확진자가 전 세계에서 속출하면서 WHO는 3월 11일 홍콩독감(1968), 신종플루(2009)에 이어 사상 세 번째로 COVID-19에 대해 ‘세계적 대유행(Pandemic)’으로 선포(‘20.3.11.)
■ COVID-19 발생 현황(’20.5.8 조사기준)
◎ 5월 7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전 세계 COVID-19 발생 국가 및 지역은 218곳이며 누적 확진자 수는 3,672,238명, 신규 확진자 수는 83,465명, 누적 사망자 수는 254,045명, 신규 사망자 수는 6,539명인 상태
-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
[그림 1] 전 세계 COVID-19 발생 현황(’20.5.7 오전 10시 기준)
◎ 1월 20일 국내 첫 COVID-19 감염자가 발생했으며 2월 10일 신규 확진자가 0명이 되었으나 2월 18일 대구에서 신천지 교인인 첫 확진자(31번 환자)가 나온 다음 날인 2월 19일부터 신규 확진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정부는 2월 23일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에서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상향 조정* 관심(감염병 발생 및 유행)→주의(국내 유입)→경계(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 감염병의 제한적 전파)→심각(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 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 또는 전국적 확산)
- 5월 8일 오전 0시 기준으로 국내 누적 확진자 수는 10,822명, 신규 확진자 수는 12명, 누적 사망자 수는 256명, 신규 사망자 수는 0명인 상태
- 전국적으로 약 82%는 집단발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으며 기타 산발적 발생 사례 또는 조사·분류중인 사례는 약 9.9%(2020. 4. 8. 기준)
- 국내 확진자 및 사망자 증가세는 주춤한 반면, 미국과 유럽 등에서 확진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해외에서 국내로 유입되는 확진자 수* 증가(2020. 5. 8. 기준 해외유입 누적확진자 1,107명) * 조사가 완료되어 해외유입으로 확인된 사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내외 치료제 및 백신 개발 현황과 과제<보건산업 브리프<보고서ㆍ간행물
보건산업브리프 Vol.302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내외 치료제 및 백신 개발 현황과 과제]입니다. I. 배경 II. 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 개요 III. COVID-19 치료제 및 백신개발 글로벌 현황 1. 파이프�
www.khiss.go.kr
'10.B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스케어 - 의료 AI (3) | 2024.10.28 |
---|---|
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 2020 발표 (0) | 2020.05.28 |
포스트 코로나 미래전망 및 유망기술 (0) | 2020.05.28 |
인공지능, 코로나19를 만나다: 코로나19로 되짚어보는 AI의 현재와 미래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