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0. 초보 연구자의 논문작성 Pain Point

 

▶️ 1. Consensus: 논문 주제 선택의 리스크 경감

  • (장) 내가 생각하는 논문주제 및 방향성의 간단한 검증에 도움
  • (단) 해외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관련 논문이 크게 도움되지 않음
  • (단) 관련 논문 원문을 보려했으나 대부분 유료 PDF 링크라서 한계 존재

▶️ 2. Elicit: 선행연구 조사시간 단축

  • (장) 논문의 '선행연구조사' 부분에 활용용이
  • (단)조사결과가 영어로 나타나 다시 번역해야 하는 번거로움 존재
  • (단)국내논문은 원문 전체를 분석하지 않고, 초록에만 의거하여 분석하는 한계

▶️ 3. NotebookLM: 역발상으로 교재를 만들어 학습

NotebookLM을 '개인화된 AI 연구 조교'로 활용하여 'Bottom-up 접근'

  • 기존의 성공적인 결과물인 ‘다수의 선행 연구 논문들’에서 ‘많이 사용된 연구 방법론’을 역으로 추출
  1. DBpia, Elicit, Consensus로 찾은 모든 논문 PDF 파일을 NotebookLM에 업로드
  2. 업로드한 자료를 기반으로 내가 검토중인 연구방법론에 대한 학습 가이드 제작 요청
  3. 교재와 함께 활용할 구체적인 샘플 마련
  • (장) 내가 새로 사용하려는 이론, 연구방법론에 대한 학습을 기존 논문을 중심으로 진행
  • (장) 빠르게 실제 적용사례를 탐색하고, 적용 가능성을 신속하게 판단

▶️ 4. Lessons learned

 

https://www.gpters.org/ai-writing/post/using-notebook-lm-learn-74UyWZdYlSFFRf4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