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penAI의 Product Lead인 Miqdad Jaffer가 AI 제품 전략을 4단계 프레임워크로 정리한 글
1) 사례 연구: Perplexity vs Midjourney vs ChatGPT
Perplexity: 모든 쿼리를 GPT에 직접 전달하는 대신 검색+LLM 하이브리드 레이어를 도입해 토큰 사용량을 대폭 절감함
결과적으로 비용 절감, 빠른 응답, 인용 추가를 통한 UX 개선을 동시에 달성함
Midjourney: Discord 기반 커뮤니티 확산에 성공했지만, 내부적으로는 GPU 비용 폭증 문제가 존재했음
이미지 한 장당 막대한 연산비가 발생해 무료 사용자는 지속 불가능했고, 이에 따라 공격적인 유료 플랜을 조기에 도입함
ChatGPT: 2개월 만에 1억 명 사용자를 확보했으나, OpenAI의 연산 예산을 거의 초과할 뻔함
“ChatGPT Plus” 요금제($20/월)는 단순한 수익화가 아니라 비용 억제 장치로 도입된 것임
명확한 패턴은, 확장 단계까지 살아남는 창업자들은 처음부터 단위 경제학을 설계해 두었다는 점임
https://discuss.pytorch.kr/t/gn-openai-product-lead-ai/7704
[GN⁺] OpenAI Product Lead가 정리한 AI 제품 전략 수립 방법
'AI 제품 전략 수립 방법' 글 소개 OpenAI의 Product Lead인 Miqdad Jaffer가 AI 제품 전략을 4단계 프레임워크로 정리한 글 AI 제품은 단순히 기능 추가가 아닌, 전략적 설계 없이는 생존할 수 없는 환경에
discuss.pytorch.kr
https://www.thevccorner.com/p/ai-product-strategy-openai-guide
OpenAI’s Product Lead Reveals the 4-Part Framework for AI Product Strategy
Build AI products that scale profitably, retain users, and defend against commoditization
www.thevccorner.com
'13.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ToDo] AI 활용 논문 작성 워크플로우 개선 (with Consensus, Elicit, Notebook LM) (0) | 2025.09.24 |
---|---|
환각은 왜 생길까? (0) | 2025.09.16 |
Gemini 2.5 Flash 이미지 생성을 위한 최적 프롬프트 가이드 (0) | 2025.09.11 |
에이전트 디자인 패턴(무료 책) (0) | 2025.09.11 |
[용어] GQA(Grouped-Query Attention) (0) | 202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