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LM 토큰 팩토리 개요
LLM 토큰 팩토리는 거대 언어 모델(LLM)이 다루는 텍스트를 토큰 단위로 대량 생성·처리·관리하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토큰당 연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대규모 AI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처리량을 확보할 수 있다.
1. 토큰(Token)과 토큰화(Tokenization)
토큰은 텍스트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단어(word), 부분 단어(subword), 문자(character) 등 다양한 Granularity를 가질 수 있다.
토큰화는 문장 또는 문서를 모델이 이해할 수 있는 토큰 시퀀스로 분할하는 과정이며, LLM마다 Byte Pair Encoding(BPE), WordPiece, SentencePiece 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2. 토큰 팩토리(Token Factory)의 정의 및 역할
- 정의: 수천~수만 개의 GPU·TPU를 활용해 텍스트 입력과 출력 과정에서 생성·소비되는 수십억~수조 개의 토큰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인프라
- 주요 역할
3. 기술 아키텍처
구성 요소 | 기능 |
토큰화 서비스 레이어 | 다중 토큰화 알고리즘(BPE, WordPiece 등) 제공 |
분산 처리 프레임워크 | GPU/TPU 클러스터 상에서 동시 토큰화 및 디토큰화 수행 |
캐시 및 메모리 계층 |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 정의 사전 및 토큰 매핑을 고속 조회 |
모니터링·로그 시스템 | 토큰 처리량, 지연시간, 오류율 등 실시간 지표 수집 |
4. 비즈니스 가치
- 비용 절감
- 서비스 확장성
- 과금 모델 연동
5. 주요 성능 지표
지표 | [설명] |
토큰 처리량(tokens/s) | 초당 처리 가능한 토큰 수 |
지연시간(latency) | 단일 요청 당 토큰화 및 모델 응답까지의 시간 |
컨텍스트 창 크기 | 한 번에 모델이 참조할 수 있는 최대 토큰 수 |
비용 효율(cost/token) | 토큰 당 연산 및 메모리 사용 비용 |
6. 결론
LLM 토큰 팩토리는 LLM 기반 AI 서비스를 효율적, 확장 가능, 저비용으로 운영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이다. 대량 토큰화·스트리밍 처리·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AI 가공의 생산설비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기업의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https://blogs.nvidia.co.kr/blog/ai-tokens-explained/
728x90
'07.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 MoR (Mixture-of-Recursions) (1) | 2025.08.31 |
---|---|
LLM - 멀티모달 AI - Text-to-Image (T2I) & Text-to-Video (T2V) (1) | 2025.08.28 |
AI 저널리즘 - 생성형 AI 저작권 - 기억(Memorization) 문제 (2) | 2025.08.28 |
생성형 AI - 추론 ‘inference’ 비용 (1) | 2025.08.27 |
LLM - Open AI, GPT-5 (1)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