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생성형 AI 활용 사례 유형 및 영향력, McKinsey & Company, Early adoption of generative AI in commercial life sciences, 2024. 5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구성

 

상업적 활용 분야별 생성형 AI 영향력, McKinsey & Company, Early adoption of generative AI in commercial life sciences, 2024. 5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구성

 

  • 생성형 AI 활용 동향

 

  • 생성형 AI에 대한 전략과 전용 예산을 갖춘 기업은 기업 규모에 관계 없이 매출 증가, 의료인력 및 환자 인식 개선, 효율성 향상과 같은 비즈니스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2배 증가
  • −︎57%가 조직의 우선순위로 생성형 AI 전략의 주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45%만이 “조직이 명확한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답함
  • −︎생성형 AI 관련 예산이 100만 달러를 넘는 기업은 적은 예산을 가진 기업에 비해 기술 영향력이 거의 2배(약 1.7배) 높음
  • −︎소규모 생명과학 기업과 대규모 제약 회사 사이의 도입 격차도 주목할 만함
  • −︎소규모 생명과학 회사(매출 10억 달러 미만)의 28%가 생성형 AI 전략을 갖춘 반면, 대형 제약 회사의 58%는 생성형 AI 전략을 갖춤

 

  • 기업의 약 2/3은 외부 기술 지원 없이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시범 운영 중
  • −︎대부분의 기업은 데이터와 분석에 있어 진보했다고 보도하지만, 응답자의 약 40%가 생성형 AI와 대규모 언어 모델에 대한 제한된 기술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

 

  •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기업 중 다수는 기술회사(28%) 또는 생성형 AI 기능에 투자하는 마케팅 대행사(16%)와 파트너십 체결
  • −︎특정 상황이나 규제 요구 사항에 맞게 솔루션을 조정하고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며 솔루션을 새로운 워크플로우에 통합하는 능력을 기반으로 파트너십을 평가

https://www.bioin.or.kr/board.do?num=325124&cmd=view&bid=global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