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 알고리즘

03.Security 2023. 11. 10. 06:37
728x90
반응형
암호화, 널리 알려진 표준 암호화 알고리즘이 가장 안전
 
데이터 암호화를 도입하면 좋다는 건 기술자가 아니어도 아는 사실이다. 암호화 기술 자체가 강력하기도 하지만, 보안의 전략적인 측면에서 종심 방어(defense-in-depth)를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데이터 암호화가 있어 공격에 들어가는 비용이 높아진다. 하지만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진다는 커다란 단점이 있다.
 
1. 널리 알려진 암호화 알고리즘을 기피한다
2. 전체 디스크 암호화
3. 컴플라이언스
4. 복호화 키 저장
 
1. 암호화 : 평문(Plain text)을 암호문(cipher text)으로 만드는 과정
2.  암호화를 활용한 5가지 기능 : 기밀성, 가용성, 무결성, 부인봉쇄, 인증
3. 암호화의 분류
  (1) 키의 형태에 따른 분류
    - 대칭키    : 암호화키(비밀키) =  복호화키(비밀키), 고속, DES, AES, SEED등
    - 비대칭키 : 암호화키(공개키) <> 복화화키(개인키), 저속, RSA, ECC등
  (2) 정보 단위에 따른 분류
    - 블록암호    : 평문을 일정한 블록단위로 나눔 / 기밀성확보,해쉬함수가 다양 / DES,SEED
    - 스트림암호 : 평문과 같은 길이의 키 스트림 생성 / 암호속도가 빠름, 에러 전파현상 없음 / LFSR

 

 

4. 암호화 알고리즘의 분류
  - 대체, 치환, 확장, 압축, 블록화
5. 암호기술 분류
  1) 암호화 기술 : 1) 비밀키 알고리즘 : 1) 블록 암호 알고리금 : DES,AES,SEED
                                                     2)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 : LFSR
                         2) 공개키 알고리름 : 1) 소인수 분해 : RSA
                                                     2) 이산대수 : DSA,ECC
                                                     3) 근접백터 : Lattice
  2) 암호화 프로토콜 : 1) 기본 암호 프로토콜 : 개인식별 및 인증, 전자서명, 키분배
                              2) 발전된 암호 프로토콜 : 전자화폐, 전자결재, 전자선거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