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ChatGPT 출시 이후, 생성형 AI의 주요 이슈와 그 의미는 다음과 같음
① ChatGPT 출시(´22.11.30)와 생성형 AI의 부상
– 코딩, 요약, 콘텐츠 생성 등 강력한 텍스트 생성 성능을 보이며 유례없는 이용자 수를 기록, 생성형 AI의 대중화 가능성을 보여줌
② LLaMA 출시(´23.02.24)와 LLaMA Moment, 오픈 소스로 촉발된 모델 경량화와 시장변화
- Meta의 대형언어모델인 LLaMA의 소스가 대중적으로 오픈되면서 대형언어모델 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아지며 시장에 영향을 미침
③ GPT-4 출시(´23.03.14), 멀티모달(multi-modal) 시대에 대한 기대
- 텍스트 생성을 넘어 이미지 입력·처리·추론이 가능한 대형언어 모델이 출시되면서 멀티 모달 AI의 활용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음
④ 구글의 생성형 AI 접목(´23.03.14) 및 MS의 Copilot 출시(´23.03.16), AI를 통한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 기대
-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생성형 AI를 자사 업무 생산성 도구에 접목하면서, AI 기술을 통한 서비스 고도화 및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업무 방식과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⑤ ChatGPT-Plugin 출시(´23.03.23), 챗봇에서 플랫폼으로의 진화
- ChatGPT-Plugin를 통한 외부 서비스와 연결로, 최신 정보 접근과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을 ChatGPT 내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ChatGPT 중심의 서비스 통합 가능성을 보여주게 됨
⑥ 자율 AI 에이전트(Autonomous Agent)의 등장과 인공 일반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으로의 기대
- 자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자율 AI 에이전트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고 주목받으며, 미래로만 여겨지던 인공 일반지능(AGI)의 시대의 도래를 시사함

 

자료: 삼성증권 (2023.03), How AI works for you 참고하여 재편집함

 

[동향] 2023 생성형 AI 주요 이슈와 의미.pdf
1.11MB

 

 

 

 

https://www.kisdi.re.kr/report/view.do?key=m2102058837181&masterId=4334696&arrMasterId=4334696&artId=115929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http://www.kisdi.re.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

www.kisdi.re.kr

 

728x90

'07.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 - 경사하강법 (Gradient Descent Method)  (0) 2023.11.10
LLM - 경량  (0) 2023.10.30
생성형 AI - 생성 모델  (0) 2023.10.21
머신러닝 - 강화학습  (0) 2023.10.19
생성형 AI - DALL-E 3  (0) 2023.10.19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