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념)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등의 계정 정보를 조합해 여러 사이트에 대입하며 액세스를 시도하는 것

이른바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이란 공격자가 이미 확보한 크리덴셜(로그인 정보 등 암호화한 개인정보)을 다른 계정들에 마구 대입하는(stuffing) 방식으로 이용자 정보를 침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동일한 비밀번호를 여러 계정에서 사용하거나 이전에 사용했던 비밀번호를 다시 사용한다면 다른 곳에서 유출된 정보로 한꺼번에 피해를 입을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우리은행의 경우에도 공격자는 크리덴셜 스터핑을 통해 고객정보 56,000건에 접근하는 데 성공했죠. 크리덴셜 스터핑은 정당한 이용자, 즉 실제 고객의 ID·비밀번호 조합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정보 입력 시 은행 시스템은 정당한 이용자라고 판단합니다.
 
다만, 이용자 부주의 만으로 보기엔 은행 측에서 추가적인 보안을 구축했어야 한다는 비판도 따랐습니다. 다른 측면에서 비정상적인 접근을 차단할 방법이 있고, 크리덴셜 스터핑은 가장 기초적인 공격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있었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우리은행이 공격 탐지 후 적절한 시간 내 소관기관에 보고했는지에 대한 의문도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전자금융감독규정 제73조는 사고 발생 시 지체 없이 금융감독원장에게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KISA는 이번 해킹 사태를 낳은 계정 탈취에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기법이 활용된 것으로 본다. 크리덴셜 스터핑은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등의 계정 정보를 조합해 여러 사이트에 대입하며 액세스를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훔친 계정으로 텔레그램에 등록된 친구, 가족, 지인들에게 개인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URL을 보내 피해를 낳았다는 설명이다.

보안당국은 텔레그램을 통한 피싱 시도가 계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KISA 관계자는 “사용자들이 같은 계정과 패스워드를 여러 앱에서 동일하게 활용하는 경향을 노려 공격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며 “해커 입장에서도 (사이버 공격을 위한) 다양한 루트를 찾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http://m.boannews.com/html/detail.html?idx=71103
 

[카드뉴스] 우리은행 해킹 시도 논란, 다시 요약해보니

지난 6월 23일~27일, 우리은행에서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습니다. 공격자는 앞서 타 은행에서 유출된 고객정보를 이용해 56,000건 로그인에 성공했습니다.

m.boannews.com

https://byline.network/2023/08/0801_003/

 

해킹 수단 된 텔레그램...철통 보안 명성 흠집 난 이유는 - Byline Network

#하루에도 여러 번 울리는 지인들의 텔레그램 가입 알림. 다른 메신저를 한번 써보고 싶은 호기심에 더해 높은 보안성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텔레그램 가입자를 끌어모은다.

byline.network

 

해킹 수단 된 텔레그램...철통 보안 명성 흠집 난 이유는 - Byline Network

#하루에도 여러 번 울리는 지인들의 텔레그램 가입 알림. 다른 메신저를 한번 써보고 싶은 호기심에 더해 높은 보안성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텔레그램 가입자를 끌어모은다.

byline.network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