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측위 기술

05.Network 2023. 5. 31. 12:57
728x90
반응형
고정밀 위치추적 기술 왜 필요하나
 
GNSS 솔루션은 2020년까지 30개 상용 항법 위성을 활용해 지구상 모든 지점을 관측할 수 있다. 문제는 지상이다. 지상에서 사용하는 대부분 GNSS 칩은 미터(m) 수준 정밀도에 머물러 있다. 교각이나 터널 혹은 고층 건물군에 있는 차량이나 무인항공기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집할 수 있는 정확하고 연속적인 내비게이션 데이터가 필요하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ADAS도 ㎝급 고정밀 위치정확도가 필요하다. ㎝급 고정밀 GNSS 솔루션은 높은 가격 탓에 제한된 분야에서 주로 사용됐다. 이제 다양한 분야에서 솔루션이 요구되며 칩 제조사는 확장성 높고 합리적 가격의 고성능 고정밀 GNSS 수신기 개발을 위한 고정밀 위치추적 기술이 필요해졌다.
 
GNSS 확장성을 높이고 가격을 줄이는 핵심 요소는 하드웨어와 보정정보 서비스다. 상태공간정보(SSR, State Space Representation) 보정 기술은 단방향 전송 방식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GNSS 보정 서비스다. SSR는 1000달러(약 108만원)가량 고비용 기술이었으나 애플리케이션 수요 증가와 함께 가격이 크게 떨어지면서 무인항공기(UAV)에서 무인 차량에 이르는 상업용 애플리케이션에 대량으로 채택되고 있다.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또는 PPP-RTK와 같은 SSR 기법은 ㎝급 측위 정확도 구현에 사용된다. SSR 기술 원리는 모델링 및 보정 결과(전지구 또는 지역 단위 GNSS 기준국 네트워크로부터의 정밀 위성 궤도, 대기 및 시각 보정 등)를 활용해 측정 오차를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자율 주행처럼 안전이 중요하게 고려돼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드론 기반 측량과 같은 정확도가 최우선 가치가 될 때 필수 요건이다.
 
휴대전화를 위한 셀룰러 망이 포화되면 송출 혼잡이 발생하곤 한다. 이를 막기 위해 GNSS 개발자 및 유블럭스를 비롯한 칩 제조사는 3GPP 기구와 협조해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창출하는 전달 메커니즘 구현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모델링된 GNSS 오류 데이터를 GNSS 수신기에 광역 단위로 송출하는 방법도 진행 중이다.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