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이용자의 특정 요구에 따라 결과를 능동적으로 생성해 내는 인공지능 기술
- 이용자가 요구한 질문이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데이터를 찾아서 학습하여 이를 토대로 능동적으로 데이터나 콘텐츠 등 결과물을 제시하는 한 단계 더 진화한 AI 기술
- 학습 데이터와 유사한 속성을 가진 이미지, 텍스트 및 기타 미디어와 같은 콘텐츠를 생성하는 학습 기능을 갖춘 AI
- 대형 언어모델(LLM)이나 이미지 생성 모델(IGM)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무언가를 만들거나 생성하는 모든 기술을 의미
(구성요소) 데이터, 모델, 학습 프로세스, 테스트, 배포, 인프라로 구성, 특정 도메인 및 활용 사례와 연결되는 기업문서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
(기술유형)
➊적대적 생성 신경망(GAN),
➋지피티(GPT),
➌확산 모델(DM) 등
➊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심층신경망을 사용하여 학습 후 원본 데이터의 유사성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인공신경망
➋ (Generative Pre-Trained Trandformer) 라벨링되지 않은 대량의 데이터셋으로 미리 훈련되고 문자를 생성할 수 있는 변환기 아키텍처에 기반한 인공신경망
➌ (Diffusion Model) 주어진 데이터 셋의 확률 분포를 생성하는 확산 프로세스를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잠재 변수 생성 모델 클래스
(적용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텍스트와 같은 언어 데이터를 학습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생성형 AI 모델
*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 테라바이트 단위의 대용량의 텍스트 덩어리를 통해 모델을 학습시켜 복잡한 문장을 생성가능하며 대표적인 예시가 GPT-3, 챗GPT
* 이미지 생성 모델(Image-Generation Model) :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기술로 대표적인 예시가 DALL-E2, 미드저니
(응용) AI 모델이 하나의 과업을 수행하던 방식을 벗어나 하나의 모델이 여러 과업에 활용할 수 있는 전산업의 기반으로 진화하여 AI R&D 시대에서 응용의 시대로 전환
- AI의 자동화 운영, 전망 및 분석, 텍스트나 이미지 생성, 음성 합성, 3D 모델링 등의 다양한 기능은 제품 및 서비스 개발・판매 등에 다양하게 응용
(긍정적 효과)
- (작업 효율화) 기업 내 필수업무인 판매, 보안, 마케팅 등에서 AI 적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해당 기능에 대한 효율성 제고
∙ 챗GPT와 같은 챗봇은 일상적인 업무를 자동화하거나 이메일을 활용한 세일즈, 코드를 수정하거나 고객지원을 개선하는 등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제고
- (인간-로봇 인터페이스) 증강현실, 동작 컴퓨팅, 로봇 등의 분야에서 언어와 시각(이미지 및 비디오)가 결합하는 단계를 넘어 오디오, 3D, 로보틱스와 같은 개별 분야까지 파급력 확장
∙ 현재 로봇 프로그래밍의 과제는 엔지니어가 먼저 로봇이 수행해야 할 작업의 요구사항을 로봇 시스템을 위한 적절한 코드로 변환 후 코드를 적용한 후 로봇의 동작을 관찰하고 잘못된 동작일 경우 코드를 다시 수정해야 로봇의 행동을 교정할 수 있다는 점
*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소요
∙ 챗GPT를 활용하면 미래에는 기술지식이 없는 사용자라도 로봇의 동작을 관찰하고 자연어로 챗GPT를 통해 로봇의 잘못된 동작을 바로잡을 수 있음
- (콘텐츠 제작) 영화 시나리오, 소설, 노래 가사, 광고카피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창의적 형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작 가능 ∙ 기존의 미디어 산업에서는 기자들이 정보를 수집하고 작성했지만 생성형 AI를 이용하면 대량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기사 작성
* 번역가, 음성 배우, 일러스트레이터 등의 업무 수행의 다수가 AI 기술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짐
- (프로그래밍) 간단한 프로그램 코드짜기, 주석달기, 코드 상 오류 찾기, 에러코드 수정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작업 수행 가능,
*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체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Github사의 Copilot 프로그램은 개발자 코드의 최대 40%가 자동 완성되도록 지원
(현황 및 대응)
● 오픈 AI의 GPT-3 발표(’20.6) 이후 초거대 AI의 기록적인 성능 향상을 경험한 빅테크 기업들은 경쟁적으로 대규모 자본을 투입하여 초거대 AI 모델 개발 중
- 미국, 한국, 중국 등 각국에서 모국어 버전의 초거대 모델을 구축 중이며 우리나라도 언어 AI 주권 확보 차원에서 네이버, 카카오, LG전자 등에서 적극적으로 초거대 AI 모델 개발
* 미국 : GPT-3(오픈AI), LaMDA2, PaLm(Google), OPT-175B(메타) * 중국 : Wudao2.0(BAAI), Pangu Alpha(화웨이)
https://www.kca.kr/Media_Issue_Trend/vol55/KCA55_22_domestic.jsp
https://kosen.kr/info/kosen/REPORT_0000000002341
'07.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 법/규제 - 미국 - 연방거래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 이하, FTC) 오퍼레이션 AI 컴플라이(Operation AI Comply) (0) | 2024.10.13 |
---|---|
인공지능 - 법/규제 - 국가 AI 전략 정책 방향 (0) | 2024.09.29 |
LLM - 멀티모달 AI (1) | 2024.09.10 |
자연어처리 (NLP) - Self Attention (0) | 2024.09.03 |
생성 모델 - 이미지 - 디퓨전 모델(Diffusion models) (0)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