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목적) 코로나19에 따른 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비대면 서비스 확산에 필수적인 정보보호 수요를 차세대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련
※ 제1차 진흥계획(’16~’20년) : 정보보호산업법 제정(’16)에 따른 기반 마련, 창업 활성화 및 해외진출 등을 통한 양적 성장 중심
 
□ 정부는 디지털 전환과 비대면 서비스 확산에 따른 정보보호 신시장 창출을 위해 클라우드, 블록체인, 생체인식 등 신기술을 활용해 차별화된 보안기능을 갖춘 비대면 서비스 보안 시범사업*을 실시합니다.
  * (예시) 원격교육(토탈보안솔루션-한번 설치로 간편 이용), 원격근무(클라우드보안), 온라인상거래(생체인식+결제+출동보안)
 
ㅇ 또한 한국형 ‘물리ㆍ정보보안 연계 보안 수출모델’, ‘비대면 서비스+보안 패키지 모델’을 활용해 해외 비대면 보안시장*을 개척(‘21~)하고,
    * 전자정부 협력사절단, 한국형 스마트시티 수출 사업 등과 동반 해외진출
 
ㅇ 수요자 관점에서 부담을 줄이고 편리하게 보안인증 체계를 정비*하는 등 정보보호산업 규제와 법·제도를 개선합니다.
    * ISMS, CC인증 등 여러 보안인증의 세부평가항목 상호인정 등을 통해 중복요구 최소화
 
 
 
 
 
과기정통부 추진전략
 
①AI 기반 보안제품 확산을 위한 학습데이터 가공·공유 체계 구축
과기정통부는 정보보호 기업을 비롯한 산·학·연의 AI 기반 정보보호 기술 및 제품·서비스 개발 지원을 위한 학습데이터 가공·공유 체계를 구축(2021~)한다. 여러 곳에 분산되어 제공 중인 정보보호 원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가공하고, AI 학습데이터 공유를 위한 이용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AI보안 학습데이터 가공·공유 체계안[자료=과기정통부]
 
 
 
 
▲원천데이터 수집 확대[자료=과기정통부]
 
②정보보호기업의 AI 학습데이터 이용 지원 등
 
정보보호기업의 영상, 생체인식 등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보안제품·서비스 개발을 위해 학습 데이터 구매 및 가공을 집중 지원(2022~)한다. 특히 데이터 구매, 일반 가공, AI 가공 등을 데이터바우처 사업과 연계해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AI 보안 학습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비식별처리(기업정보, 피해자 정보 제거 등) 및 비식별 처리기술(데이터, 영상정보 등에 개인정보를 비식별처리, 영상합성 등) 개발을 지원(2022~)할 방침이다.
 
또한, AI 보안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AI 보안 테스트 지원(AI 기반 보안제품 신규개발 또는 기존 제품에 AI 기능 적용을 위해 필요한 샘플 데이터셋 제공 및 AI 보안 성능개선 컨설팅)을 통해 AI 보안 머신 학습의 정확도 개선과 제품 고도화를 추진(2022~)할 예정이다. 그리고 정보보호 AI 제품 신규개발 또는 기존 제품에 AI 기능 적용을 위해 필요한 샘플 데이터셋을 제공하고 AI 보안 성능개선 컨설팅을 추진한다.
 
AI보안 데이터를 활용해 산학연 전문가가 기술개발·성능을 경쟁하는 AI 보안 기술개발 챌린지 대회도 개최(2022~)한다. 개방형 문제해결 플랫폼인 (가칭) 한국형 캐글(Kaggle)로 단계적인 확대 개편을 통해 데이터 이용역량 강화와 제품 개발을 촉진할 계획이다.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