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list.do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개인맞춤 시장과 제조 밸류체인의 변화
- 발행일 : 2020.07.01
- 김영훈
- 원문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개인맞춤 시장이 부상하고 있으며 생산 방식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개인맞춤 시장은 20% 이상의 가격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롱테일(Longtail) 고객의 확대와 디지털 트윈과 같은 제조혁신 기술이 확산되면서 성장 중이다. 시장의 변화로 생산 방식의 변화도 예상된다. B2C(Business to Customer) 분야에서는 컨베이어 벨트 중심의 생산은 줄어들고 맞춤제작에 적합한 셀 생산 방식(Cell Production)이 확산될 것이다. 이에 따라 모듈러 무빙(Modular Moving) 팩토리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생산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B2B(Business to Business), 특히 소재 분야에서도 B2C 고객의 다양하지만 소량 주문에 대응하고 있다. 다중소재(Multi Material) 및 디지털 고로(Digital Furnace) 전략이 대표적인 예이다. 개인맞춤 시장 및 생산 방식의 변화는 2025년부터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FaaS(Factory as a Service) 등 기술개발 및 개념설계 등을 통해 시장을 선점하기 전략이 필요하다. 기술개발 전략은 제조 데이터를 중심으로 스타트업과 협력하는 오픈 생태계 모델이 중요하다.
ICT 신기술
영지식 증명 연구 동향
- 발행일 : 2020.07.01
- 오현옥
- 원문보기
블록체인은 특정 내용을 블록체인에 넣고 이를 공개함으로써 일단 공표된 내용에 대해서 더 이상 수정이 불가능한 불변성을 제공하여 신용이 필요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공개 보드(Public Bulletin Board)를 구현하는 현실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블록체인에 올라간 데이터는 공개 과정을 통해서 가용성 및 투명성을 획득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노출의 문제가 항상 존재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블록체인에 있는 많은 데이터에 대한 비교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성능 및 크기의 문제가 생긴다. 본 고에서는 영지식 증명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 현황과 방향, 사용할 수 있는 도구, 그리고 국제 표준화 진행 상태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ICT R&D 동향
증강현실 NED를 위한 홀로그램 광학소자
- 발행일 : 2020.07.01
- 김남
- 원문보기
일반적인 미러 형태의 광학소자는 빛이 들어온 방향에 따라 동일한 각도로 출력되며, 증강현실을 위한 착용형 디바이스, 특히 안경 형태의 경우 이러한 일반적인 미러를 이용할 경우 광 경로나 부피 등의 제약을 받으며 좁은 시야각과 eyebox(고정된 출력 범위로 이 위치에 눈이 있을 경우에만 영상을 봄)로 인해 항상 눈이 안경 형태의 디바이스의 Eyebox 영역 내에 있어야 하므로 착용이 불편함
VR 콘텐츠 분석 기반 딥러닝 VR 멀미 정량적 예측 기술
- 발행일 : 2020.07.01
- 노용만
- 원문보기
VR 콘텐츠 비디오의 시·공간적 특징 분석을 통해 VR 콘텐츠가 유발하는 VR 멀미를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딥러닝 멀미 평가 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창작한 주간기술동향 1953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2. 메일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기술동향 1954호(2020.07.08 발행) (0) | 2020.07.08 |
---|---|
ITFIND 메일진 제977호 산업분야별 정보메일 (발행 : 2020-07-03 ) (0) | 2020.07.06 |
제169호 과학기술&ICT동향 (0) | 2020.07.01 |
[찾아가는 ITFIND] 주간기술동향 제1952호 (0) | 2020.06.29 |
ITFIND 메일진 제976호 산업분야별 정보메일 (발행 : 2020-06-26 )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