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1.30 이탈리아 접근제한조치

 딥시크(DeepSeek) 
 -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AI 챗봇
 - 미국 오픈AI의 '챗GPT'를 상회하는 성능으로 주목받고 있음

 가란테
(Garante)의 접근제한조치 
 -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 가란테
(Garante)가 딥시크에 대한 접근 제한을 1월 29일 시행
 - 이러한 조치는 데이터 처리 방식 질의에 대한 딥시크의 답변이 불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
 - 딥시크 측 입장: '이탈리아에서 운영하지 않으며 유럽 개인정보 보호법
(GDPR)을 적용받지 않는다' 주장

 

정부와 공공기관의 조치

한국 정부는 6일,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부처에서 딥시크의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이어 보건복지부와 경찰청 등에서도 차단 조치를 취했습니다. 공공기관은 정보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러한 대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2312.

민간기업의 대응

IT기업인 카카오, LG유플러스, SK텔레콤을 포함한 금융권에서도 딥시크 접속 차단을 결정했습니다. 특히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여러 주요 은행들이 이에 동참하여 고객 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511.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역할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방식을 면밀히 분석하기 시작했으며, 관련 위험을 고지하고 신중한 이용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차단을 검토 중인 부처와 기관도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1641.

결론

딥시크의 경우, 개인정보 처리방침과 보안 절차에 대한 불확실한 점으로 인해 각종 부처와 기업들이 신속히 대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추세는 향후 더 많은 기관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https://nsp.nanet.go.kr/plan/subject/detail.do?nationalPlanControlNo=PLAN0000050524

 

국가전략정보포털

 

nsp.nanet.go.kr

 

보도자료 상세 페이지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www.pipc.go.kr

250207 (보도참고) 딥시크 관련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대응 경과(조사1과, 대변인실, 인공지능프라이버시팀).pdf
0.55MB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3808

 

[AI 이슈] 딥시크,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 민주화' 서막 열었다!" - 인공지능신문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공개한 V3 및 R1 모델이 AI 업계의 판도를 뒤흔들 잠재력을 가진 \'게임 체인저\'로 떠오르고 있다.이어 차세대 멀티모달 AI 모델 \'야누스 프로(Janus-P

www.aitimes.kr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