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AI 관련 주요 법령 및 정책
법령/정책명 | 주요 내용 | 시행일 |
지능정보화 기본법 | AI 기술의 정의 및 활용 범위 규정 (데이터 처리, 클라우드 기술 포함) (법률제18298호, ’21.7.20) |
2021.07.20 |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법 | 공공기관의 데이터 활용 및 정책 수립 촉진 (법률제19408호, ’23.5.16) |
2023.05.16 |
식품의약품안전처 데이터 관리 규정 | AI 기반 식의약 데이터 활용 시 사전 협의 필수 (중복투자 방지, 데이터 품질관리 강조) (훈령 제200호, ’22.4.28) |
2022.04.28 |
2. 국내·외 AI 정책 및 규제 동향
국가/지역 | 정책명 | 주요 내용 | 시행일 |
대한민국 |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설치 | AI 산업 진흥 및 신뢰 확보를 위한 국가 위원회 구성 | 2024.07.30 |
대한민국 | 인공지능 산업 육성 및 신뢰 확보 법안 | AI 사업자 책임 명시, 고위험 AI 분류, 생성형 AI 사전고지 의무화 | 2024.06.18 |
대한민국 | 전 국민 AI 일상화 실행계획 | 산업·공공·일상생활 전반에 AI 도입 확대 | 2023.09 |
EU (유럽연합) | EU 인공지능법 | AI 위험도를 4단계(최고위험~최저위험)로 분류, 생성형 AI 투명성 의무 강화, 위반 시 벌금 부과 | 2024.03 |
미국 | AI 연구 및 공공서비스 투자 | 공공 부문 AI 활용 확대 및 투자 강화 | 진행 중 |
중국 | AI 모델 검열 및 공공 서비스 활용 | AI 모델 규제 강화 및 공공 데이터 활용 확대 | 진행 중 |
728x90
'12. 메일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 13대 주력산업 전망 (0) | 2025.02.04 |
---|---|
2025 - 포브스 (0) | 2025.01.31 |
2025 - 딜로이트, 경제·산업 전망 (2) | 2025.01.31 |
양자 암호 - 키 분배 시스템 (QKD system) - Clavis XG 시스템 (0) | 2025.01.31 |
인공지능 - 법/규제 - 국가 AI 전략 정책 방향 -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SPC 설립) 실행계획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