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사회적 도전과 기술 발전:
    전례 없는 도전 속에서 기술은 윤리적 책임과 수익성을 결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
  • 청정 에너지와 AI 도구 활용:
    지속 가능한 개발과 허위 정보 방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이 인간의 창의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음.
  • 의도 기반 기술:
    단순한 관심 유발을 넘어, 집중과 웰빙을 촉진하며 디지털 세계와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기술이 부상.
  • 미션 중심 인력의 등장:
    단순한 이윤 추구를 넘어, 인간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세대가 등장.
  • 성공의 재정의:
    기술을 통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가능해지며, 성공의 개념도 변하고 있음.

미래의 인력은 미션 중심적(mission-driven)

 

  • 미션 중심 인력의 등장:
    • 단순히 경제적 성공이나 경력 발전보다, 사회적·환경적 문제 해결을 핵심 동기 부여 요인으로 삼는 새로운 세대의 등장.
    • 이러한 인력을 적극 수용하는 기업과 조직이 장기적 관점에서 더 큰 성공 가능성.
  • 새로운 인력 가치관:
    • 지속 가능성, 사회적 평등, 식량 및 경제 안보, 책임 있는 AI 사용 등 긴급한 사회적 과제에 대한 대응 필요성 증가.
    • 밀레니얼·Z세대를 포함한 다양한 세대가 사회적 영향력을 중시하는 직업에 기꺼이 높은 가치를 부여.
    •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연구: 사회적 의미 있는 직업을 위해 더 낮은 임금을 택하는 사례 증가.
  • 지속 가능성 중심 직업의 성장:
    • 환경 건강·안전 관리자, 지속 가능성 분석가 등 직무가 미국·유럽에서 빠르게 성장.
    • 기술 비용 하락, 정부 정책 지원, 청정 에너지 수요 등으로 지속 가능성 분야 직무 확대.
    • 기존 직업도 에너지 효율, 탄소 중립 건축, 지속 가능성 투자 등 사회적·환경적 요소를 통합.
  • 세대 간 가치 변화:
    • 이전 세대는 개인 자유와 경제 성장 중시, 신세대는 불평등, 정신 건강, 기후 변화 등 사회적 문제에 초점을 둠.
    •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이 향상되며, 이를 통해 복잡한 인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 확대.
  • 기업 전략 변화 필요성:
    • 긍정적 사회적 영향을 주는 역할을 창출하고, 지속 가능성과 ESG 가치를 비즈니스 전략에 내재화하는 기업은 우수 인재 확보 및 장기적 성공 가능성 증가.
  • 미래 노동의 목적 변화:
    • 이익 추구와 더불어 더 큰 사회적 목적 달성이 중요해지는 시대.
    • 이러한 변화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기업과 조직이 앞으로 수십 년 동안 번영할 것.

에너지 효율성의 새로운 시대가 혁신을 이끈다

  1. 에너지 수요 증가와 도전 과제
    • 코로나19와 글로벌 에너지 위기로 전력 수요 증가.
    • 발전형 AI와 산업 전기화로 에너지 소비가 더욱 급증, 강력하고 확장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필요.
  2. 재생 가능 에너지의 성과와 한계
    • 풍력·태양광 에너지가 탄소 발자국 감소 및 생산 분산에 기여.
    • 중국의 경우, 재생 가능 에너지가 에너지 용량의 37% 차지, 2028년까지 42% 예상.
    • 그러나 24시간 지속 가능한 보완책 필요.
  3. 소형 모듈식 원자로(SMR)의 부상
    • SMR은 작고 유연하며 관리 용이, 기존 원자력의 대안으로 주목.
    • 사례: Amazon과 X-Energy의 5억 달러 투자, Energy Northwest 협력.
    • 기술 혁신: 국소 전자 빔 용접으로 작업 시간을 1년에서 하루로 단축, 일본 내진 기술 적용으로 안전성 강화.
  4. 에너지 소비 재고와 데이터센터 혁신
    •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소비 증가(미국 전체 전력의 4%, 5년 내 9% 예상).
    •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도입 시 소비 약 25% 감소.
    • 유연 부하 센터 설계로 실시간 에너지 소비 조정 가능.
  5. 기술 혁신과 숙련된 인력 필요성
    • 원자력 공학자, 그리드 관리 전문가, 소재 과학자 등 고숙련 인력 확보 필요.
    • 교육과 재교육 프로그램에 투자해 고임금·고숙련 일자리 창출 및 경제 구조 재편.
  6. 미래 전망
    • 청정 에너지 기술과 숙련 인력으로 에너지 수요 제한 없는 시대 준비.
    • 에너지 혁신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갈 기반 마련.

기술이 진실 발견의 균형을 잡다

  1. 허위 정보 확산의 문제점
    • 빠른 뉴스 주기와 클릭 중심 문화로 진실과 거짓 구별이 어려운 환경 조성.
    • 전통적 미디어 신뢰 하락 및 52%의 사람들이 진정한 정보 식별에 어려움 경험.
    • 허위 정보는 트윗, 조작 이미지/비디오로 즉각 확산, 심각한 정보 불균형 초래.
  2. 기술을 통한 해결책
    • **오픈 소스 인텔리전스(OSINT)**의 부상:
      •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인권 침해 폭로, 국제 분쟁 조사 등에서 진실 발견에 기여.
      • BBC, 뉴욕타임스 등의 주요 미디어가 OSINT 기술을 도입하거나 도구를 오픈소스화.
    • 문제점: OSINT는 노동 집약적이고 수작업 중심으로 대응 속도가 느림.
  3. 소비자 중심 도구의 부상
    • TrustNet: 실시간 군중 기반 사실 검증 도구.
    • GeoSpy: 사진 데이터의 지리적 위치 분석.
    • Proem: 학술적 지식을 통합해 뉴스 보강 및 부정확성 방지.
    • 투자 증가: 올해 2억 5천만 달러 이상의 자금이 관련 스타트업에 투자.
  4. 미래 전망
    • 정확한 정보가 허위 정보만큼 빠르게 확산되는 시대 도래.
    • OSINT 및 관련 기술의 발전이 저널리즘뿐만 아니라 기업 및 정부 운영 분야로 확대.
    • 디지털 플랫폼의 담론 품질 향상과 정보 무결성 회복.
  5. 기술자의 역할과 책임
    • 허위 정보 탐지 및 방지를 위한 혁신적인 도구 개발.
    • 정보 신뢰성과 사회적 회복력 강화.
    • 디지털 시대의 정보 무결성 보호를 위한 책임감 있는 기술 개발.

개방형 데이터가 분산형 재난 준비를 이끈다

  1. 재난 복원력의 변화
    • 기존 탑-다운 반응형 모델에서 능동적, 분산형, 커뮤니티 주도형 모델로 전환.
    • 초지역적 데이터(hyperlocal data)를 활용해 재난 복원력을 강화.
    • 데이터 접근성과 적시성이 재난 대비와 복구의 핵심.
  2. 전통적 재난 관리의 한계
    • 대규모 자원 동원이 가능하지만, 민첩성과 지역 특화된 대응 부족.
    • 예: 미국 남동부 허리케인 사례에서 지도화 부족으로 인한 피해.
  3. 커뮤니티 중심 데이터 수집 및 활용
    •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로 커뮤니티가 실시간 데이터 수집 가능.
    • 사례:
      • 호주 리스모어 홍수: 주민들이 Google Sheets로 자발적 데이터 생태계 구축.
      • Watch Duty 앱: 산불 상황 실시간 보고 및 대응 지원.
  4. 분산형 회복력 시스템
    • 엣지 컴퓨팅 및 위성 연결 기술로 실시간 데이터 캡처 및 처리.
    • 의사결정 권한을 지역사회로 이동,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 가능.
    • 중앙 집중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 현장 구조대와 주민들이 즉각적인 통찰력 제공.
  5. 협력과 지원을 위한 기술적 노력
    • 커뮤니티, 지방 정부, 인도주의 단체 간의 협력 필요.
    • Now Go Build CTO 펠로우십: 기술로 사회·환경 문제 해결을 지원.
      • Humanitarian OpenStreetMap Team (HOT): 50만 자원봉사자와 취약 지역 지도화.
      • Help.NGO: 드론과 AWS로 재난 지역 실시간 매핑 및 고해상도 데이터 제공.
  6. 미래 전망
    • 사후 대응에서 능동적이고 데이터 중심적 재난 준비로 전환 필수.
    • 기술이 인간의 회복력을 강화하고, 예측 불가능한 세계에서 지역사회를 더 자율적이고 자신감 있게 만들도록 지원.

의도 중심(Intention-driven) 소비자 기술의 부상

  1. 기술과 소비자 관계의 변화
    • 기술은 디지털 방해 요소에서 벗어나, **의도성(intentionality)**과 **깊은 사고(deep thinking)**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전환 중.
    • 2025년 이후, 기술은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고 오히려 강화하는 도구로 자리 잡을 전망.
  2. 디지털 방해와 그 영향
    •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이 주의를 분산시키며 불안, 우울증, 주의 산만 증가.
    • 예:
      • 2009~2022년, 십대의 소셜 미디어 사용률 50% → 95%로 증가하며 정신 건강 악화.
      • 미국 교사 72%가 스마트폰 산만함을 주요 문제로 인식.
      • TikTok: 35분 사용만으로 중독 가능.
  3. 디지털 단절과 새로운 움직임
    • 의도적 디지털 단절 및 선택의 움직임 확산.
    • 예:
      • Grant High School: 휴대폰 금지 정책으로 학습 집중도와 교실 괴롭힘 감소.
      • The Offline Club: 디지털 피로 극복을 위한 커뮤니티, 회원 15만 명 이상 증가.
    • 기업 사례: Amazon은 문서 중심 아이디어 정리로 깊은 논의와 비판적 사고를 우선.
  4. 목적 중심 디바이스의 등장
    • 몰입과 집중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 e-리더: 방해 없이 몰입 독서 지원 (예: Kindle).
      • 미니멀리스트 휴대폰: 통화와 문자만 가능.
      • 스탠드얼론 음악 플레이어: 알림 없이 음악 감상 가능.
  5. 디지털 연결의 균형 유지
    • 완전한 디지털 배제를 지양하고, 기술을 의도적이고 생산적으로 활용.
    • 개인적 실천 예:
      • 주 1회 휴대폰·이메일을 끄고 학문적 탐구에 몰입.
      • 제프 베조스: 하루 첫 1시간 동안 휴대폰 사용 자제.
  6. 니크센(niksen)의 원칙
    • 네덜란드의 "니크센": 의도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관행.
    • 단순함을 수용하며 기술을 정신 건강과 핵심 가치에 맞게 조정 가능.

 

 

 

 

 

 

https://www.allthingsdistributed.com/2024/12/tech-predictions-for-2025-and-beyond.h

 

 

 

 

728x90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