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거래정보를 기록하나 원장을 특정기관 중앙서버가 아닌 분산된 네트워크를 통해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
▪ 분산원장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거래기록을 여러 사이트, 국가 또는 기관에 분산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일반적으로 공개된 기술임
- 거래기록은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원장에 차례로 저장되지만 이는 참가자가 거래의 유효성을 확인할 때만 추가할 수 있음
▪ 분산(Distributed) : 한 문서의 모든 사본은 지속적, 자동적 동기화를 통해 동일하게 생성되고 항상 동일함
▪ 공유(Shared) : 시스템의 모든 행위자 간에는 완벽한 정보가 있으며, 플랫폼의 모든 구성원은 다른 모든 구성원의 정보에 접근가능함
▪ 노드(node) : 노드는 단순히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중인 블록체인 플랫폼의 사용자 또는 컴퓨터를 지칭함
- 완전노드(full node) : 완전노드의 일반적 작업은 블록체인 원장의 전체 사본을 저장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유효한 경우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로 전달하는 것임
- 채굴노드(mining node) : 완전노드의 일반적인 작업 외에 채굴 프로세스를 통해 블록체인에 새 블록을 만드는 역할을 함
- 경량노드(lightweight node) : 블록체인 원장의 전체 복사본을 저장, 관리하지 않고 처리 및 검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완전노드로 보내는 노드로서 스마트폰 및 IoT(Internet of Things)와 같이 처리능력이 제한적인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됨
무결성(Immutable)
▪ ‘무결성’은 어떤 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지 않거나 변경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함. 즉, 데이터가 일단 블록체인에 쓰여지면 아무도(시스템 관리자조차) 그것을 변경하지 못하며 발신자, 수신자 및 모든 이해당사자가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음
익명성(Pseudonymous)
▪ 많은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신원(identity)이 익명일 수 있지만, 계정정보의 경우에는 모든 거래가 다른 모든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음
- 이러한 플랫폼에서는 식별 또는 인증 프로세스없이 사용자 계정을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상의 이름인 가명을 사용할 수 있음
▪ 반면, 일부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은 블록체인에 액세스하거나 상호작용하기 전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채굴노드
▪ 일반적으로 강력한 성능의 컴퓨터가 있는 노드나 풀(pool)이 새로운 블록을 게시하는 역할을 함
▪ 채굴노드는 적절하게 암호로 서명되고 유효화된 트랜잭션이 블록으로 게시되었는지 확인함
- 특히, 비트코인(Bitcoin)과 같은 일부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는 새로운 블록을 검증하고 게시 하는 작업을 수행한 채굴노드에게 경제적으로 보상함
'01.Digital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 데이터 유형 - 메타 데이터 (Meta Data) (1) | 2024.10.26 |
---|---|
자동차 - 자율주행 자동차 - 핵심기술 (1) | 2024.10.08 |
빅데이터 - 분석기술 - 데이터 마이닝 (0) | 2024.09.24 |
클라우드 컴퓨팅 - HPCaaS (HPC as a Service) (1) | 2024.09.02 |
디지털 플랫폼 - 빅테크 (4)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