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절차
1. 이해관계자 식별 : RFP문서,킥오프미팅으로부터, 담당자의 전화번호,이름,직책,이메일주소를 수집하는 활동 .--> 이해관계자 대장을 생성
2. 이해관계자 분석 : 현저성모델로, ㅎ이해관계를 분류, 권위형,신속형,합리형으로 분류. 또는
-직접적영향자 - 프로젝트담당자, 고객, 팀장,소속임원
-간접적영향자 - 진상고객,임원
3. 이해관계자 관리 : 정기/비정기 보고, 대면/비대면으로 지속적으로 관리

 

 
 

 

13.1 이해관계자 식별
이 해관계자 식별은 프로젝트의 의사결정 ,활동 또는 결과물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개인,집단 또는 조직을 식별하고,이해관계자가 프로젝트의 성공에 미칠 잠재적 영향력,이해관계,참여도,상호 의존관계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문서화하는 프로세스이다. 이 프로세스의 주요 이점은 프로젝트 관리자가 이해관계자별 또는 이해관계자 집단의 주안점을 식별할수 있게 하는것이다. 이 프로세스의 투입물,도구 및 기법,산출물을 그림 13-2에 나타내었다. 그림 13-3에서 프로세스의 데이터 흐름도를 보여준다.
그림 13-2. 이해관계자 식별 : 투입물,도구 및 기법,산출물
그림 13-3. 이해관계자 식별 프로세스의 데이터 흐름도

 

받을수 있는,또는 스스로 영향을 받는다고 여기는 개인,집단 또는 조직을 가리킨다. 고객,스폰서,수행조직,일반대중 등과 같이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프로젝트의 성과 및 완료 결과물에 따라 이해사항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개인과 조직들이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 포함된다. 이해관계자는 프로젝트와 인도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조직 내부 여러 직급의 다양한 권한 보유자 뿐 아니라 프로젝트 수행조직 외부의 관련자도 이해관계자에 포함될 수 있다. 13.1.2.1절에서 다양한 유형의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를 식별하고 있다.
프로젝트나 단계의 초기에 이해관계자를 식별하고 그들의 이해관계,기대사항,비중 및 영향력을 분석 하는것이 프로젝트 성공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초기의 평가 결과는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갱신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그 규모 유형 및 복잡성에 따라 관련이 해관계자의 수도 달라진다. 프로젝트 관리자의 시간이 한정되어 최대한 효율적으로 시간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프로젝트나 단계 후반부까지 이해관계자의 영향력이 발생하지 않거나 명백해질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 하여 프로젝트에서 이해관계자의 이해관계 영향력 참여도에 따라 이해관계자를 분류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로젝트 관리자가 프로젝트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관계에만 주력할 수 있다.
 

http://www.313.co.kr/confluence/pages/viewpage.action?pageId=19858385

 

13.1 이해관계자 식별 - Wiki - Confluence

13.1 이해관계자 식별 Skip to end of metadata Go to start of metadata 13.1 이해관계자 식별 이 해관계자 식별은 프로젝트의 의사결정 ,활동 또는 결과물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개인,집단

www.313.co.kr

 
 
 

 

 

728x90

'02.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우 코드(Low Code), 노 코드(No Code)  (6) 2024.01.02
프로젝트 관리 - 이해관계자 관리 - 현저성 모델  (0) 2023.12.26
LLM - Open LLM  (0) 2023.12.21
버전관리  (0) 2023.12.15
버전관리 - 깃 허브 (Git Hub)  (1) 2023.12.15
Posted by Mr. Sl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