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산업 발전전략 2020.06.24
http://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02149&topic=
데이터 경제와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본격 추진 | 경제정책자료 | KDI 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24.(수), 제16차 4차산업혁명위원회 회의에서 「데이터 경제와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클라우드 산업 발전 전략」이 심의·확정됐다고 밝혔다. -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
eiec.kdi.re.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24.(수), 제16차 4차산업혁명위원회 회의에서 「데이터 경제와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한 클라우드 산업 발전 전략」이 심의·확정됐다고 밝혔다.
-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의 핵심과제 중 하나인 ‘데이터·인공지능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의 수집·축적·활용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설계되는 등 인공지능 시대의 데이터 활용과 코로나19 이후의 경제 활성화에 있어 클라우드는 핵심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음.
- 이에 정부는 ‘국가 클라우드 대전환’과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 강화’를 핵심 목표로 정하고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함.
- (발전전략의 중점추진 과제) ▲ 공공부문을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해 행정업무와 대민서비스 혁신은 물론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함 ▲ 민간의 클라우드를 공공부문에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조달체계 혁신도 이루어짐 ▲ 민간부문은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이용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공공과 민간의 클라우드 전환에 국내 클라우드 기업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서비스 수를 확대하는 ‘클라우드 플래그십 사업’을 추진함.
- 이외에도 발전전략에는 공공부문의 민간클라우드 도입환경 개선, 기업 간 협업체계 구축 등 데이터 및 인공지능 강국 실현을 위한 다양한 클라우드 산업활성화 방안을 포함하고 있음.
<붙임> 클라우드 산업 발전 전략 비전 및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