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메일진
품질관리 - 데이터 품질 - 데이터 품질과 생성형 AI 기술 동향 [TTA]
Mr. Slumber
2024. 7. 16. 00:08
728x90
반응형

y는 AI의 출력값을,
x는 AI의 데이터를,
(W, b)는 AI 모델을 의미
- AI 학습을 위해 공개된 데이터 현황
국내외 공개 데이터 수집 플랫폼 | 특징 | 데이터 유형 |
AI-HUB | 국내 데이터 플랫폼으로, 국가 지원을 받아 수집된 데이터 셋 |
한국어, 영상이미지, 헬스케어, 교통물류, 재난안전 환경, 농축수산, 문화관광, 스포츠, 교육, 로보틱스, 제조, 지식재산, 법률, 금융 등 |
KAMP | 국내 데이터 플랫폼으로, 국가 지원을 받아 수집된 데이터 셋 |
주로 제조에 특화된 데이터 |
Open-X | 해외 공개 데이터 셋 | 구글을 중심으로 세계 연구자들이 자발적으로 로봇 관련 데이터 셋을 수집 |
Hugging Face | 해외 공개 데이터 셋 | 이미 공개된 다양한 데이터 셋과 함께 AI 모델들도 제공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는 손쉽게 관련 데이터에 접근하고 활용 가 |
- 생성형 AI의 SOTA 모델들과 생성 데이터 형태 - SOTA(State-of-the-Art)



http://weekly.tta.or.kr/weekly/files/20242115062150_weekly.pdf
728x90